데이터베이스 개요
1.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 저장소는 데이터를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 논리 데이터 저장소:
- 데이터 간의 연관성과 제약 조건을 바탕으로 논리적 구조로 조직화된 저장소.
- 예: 데이터 모델, 스키마 설계.
- 물리 데이터 저장소:
- 논리 데이터 저장소를 실제 물리적 저장 장치에 구현.
- 예: 하드디스크, SSD에 저장된 데이터.
2.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조직화된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를 중복 제거 및 통합하여 여러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
- 특징:
- 통합된 데이터: 관련 정보를 한 곳에 통합.
- 저장된 데이터: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매체에 저장.
- 운영 데이터: 업무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 공용 데이터: 여러 응용 시스템이 공유.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생성, 유지보수하는 소프트웨어.
- 기존 파일 시스템의 문제(중복성, 종속성)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됨.
DBMS의 필수 기능
- 정의 기능:
- 데이터 구조, 타입, 제약 조건 등을 정의.
- 데이터를 설계하고 구조화.
- 조작 기능:
- 데이터를 검색, 갱신, 삽입, 삭제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SQL 같은 언어를 사용.
- 제어 기능:
- 무결성, 보안, 권한 검사, 병행 제어를 통해 데이터 관리.
- 예: 접근 권한 설정, 데이터 암호화.
4. 데이터 독립성
-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종속성을 제거하여 변경에 유연하도록 함.
- 논리적 독립성:
-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 변경이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예: 테이블 추가, 삭제.
- 물리적 독립성:
- 데이터의 물리적 저장 방식 변경이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예: 디스크 교체, 데이터 파일 이동.
5. 스키마 (Schema)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제약 조건, 속성 등을 기술한 명세.
- 스키마의 종류:
- 외부 스키마:
- 사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 관점의 데이터 뷰.
-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개인 또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논리적 구조 정의.
- 개념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논리적 구조를 정의.
- 조직의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설계.
- 데이터의 통합적 관리.
- 내부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저장 구조를 정의.
- 저장 장치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순서, 형식 등을 규정.
6. 데이터베이스의 중요 개념
-
중복 제거:
- 데이터베이스의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여 효율성과 일관성 확보.
-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중복 데이터를 확인 및 제거.
-
운영 데이터:
-
공용 데이터:
- 여러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학습 포인트
- DBMS의 주요 기능: 정의, 조작, 제어.
- 스키마의 종류:
- 데이터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의 역할:
- 데이터의 중복 제거, 통합 관리, 공동 사용.
데이터베이스는 현대 정보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위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실제 시험 문제나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