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분석과 CASE 도구
요구사항 분석과 자동화 도구인 CASE(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서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주요 자동화 도구와 시스템 설계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CASE 도구
CASE 도구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요구사항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명세서를 기술하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주요 CASE 도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SADT (Structured Analysis and Design Technique)
- 정의: 시스템 정의, 요구사항 분석,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도구.
- 특징: 블록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구조적 요구사항 분석을 지원.
- 개발사: SofTech사에서 개발.
-
SREM (Software Requirements Engineering Methodology)
- 정의: 실시간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
- 특징:
- RSL(Language for Requirements Specification)이라는 언어로 요구사항을 입력.
- REVS(Requirements Engineering Validation System)라는 분석기를 사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 및 검증.
- 개발사: TRW사에서 개발.
-
PSL/PSA (Problem Statement Language/Problem Statement Analyzer)
- 정의: PSL 언어를 사용해 요구사항을 기술하고 PSA 분석기를 통해 이를 검증.
- 특징:
- PSL: 요구사항 기술을 위한 언어.
- PSA: PSL로 기술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도구.
- 개발사: 미시간 대학에서 개발.
-
TAG (Tool for Automated Generation)
- 정의: 시스템 설계, 분석, 구현 등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통합 자동화 도구.
- 특징: 개발 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사용 가능.
HIPO 차트는 시스템 분석, 설계 및 문서화에 사용되는 기법으로, 시스템의 입력, 처리, 출력 과정을 계층적으로 표현합니다.
-
정의:
- 시스템 실행 과정(입력, 처리, 출력)을 계층 구조로 표현한 도표.
- 가시적 도표, 총괄 도표, 세부 도표로 구성.
-
특징:
- 시스템의 각 기능을 모듈 단위로 분리하여 표현.
- 기능 간의 의존관계와 계층 구조를 명확히 보여줌.
-
예시:
- 계산기 프로그램의 덧셈 기능을 예로 들면:
- 입력: 사용자로부터 두 숫자 입력(키보드 또는 마우스).
- 처리: 덧셈 연산 수행.
- 출력: 결과를 화면에 출력.
-
구성:
- 가시적 도표: 전체 시스템 구조를 개괄적으로 나타냄.
- 총괄 도표: 각 기능의 입력, 처리, 출력 과정을 자세히 표현.
- 세부 도표: 특정 기능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지 상세히 기술.
-
장점:
- 도표 형식으로 표현하여 이해와 소통이 용이.
- 상향식이 아닌 하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
요약
- CASE 도구는 요구사항 분석과 명세 자동화를 지원하며, SADT, SREM, PSL/PSA, TAG 등 다양한 종류가 있음.
- HIPO 차트는 입력, 처리, 출력 과정을 계층적으로 표현하여 시스템 설계와 문서화를 돕는 도구.
요구사항 분석과 설계에서 이러한 도구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