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보안 개요
1. 인터페이스 보안이란?
- 인터페이스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것
- 주요 보안 적용 영역:
- 네트워크 영역
- 애플리케이션 영역
- 데이터베이스 영역
2.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 영역
① 네트워크 영역 보안
-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간에서 보안 기능을 적용
-
주요 목적: 데이터 탈취 및 변조 방지
-
주요 프로토콜:
-
IPSec (Internet Protocol Security)
-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 패킷 단위로 변조 방지 및 암호화 제공
-
SSL/TLS (Secure Sockets Layer / Transport Layer Security)
- TCP/IP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이에서 데이터의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
-
HTTPS
- HTTP 통신에 SSL/TLS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송되는 모든 메시지를 암호화
② 애플리케이션 영역 보안
- 소프트웨어 개발 시 보안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보안 취약점을 보완
- 보안 기능 예시:
- 입력 값 검증
- SQL Injection 방지
- 권한 인증 및 접근 제어
③ 데이터베이스 영역 보안
3. 데이터 무결성 검사
- 데이터 무결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시스템 파일의 변경 여부를 확인
- 파일이 변경되면 관리자에게 알림 제공
대표적인 무결성 검사 도구
- Tripwire
- AIDE (Advanced Intrusion Detection Environment)
- Samhain
- Cramer
- Sleuth Kit
- F-Check
4. 인터페이스 보안 적용 요약
영역 | 적용 방법 및 기능 | 주요 기술 및 개념 |
---|
네트워크 영역 | 데이터 전송 구간의 암호화 및 변조 방지 | IPSec, SSL/TLS, HTTPS |
애플리케이션 영역 | 소프트웨어 보안 가이드 준수 | 입력 값 검증, SQL Injection 방지 |
데이터베이스 영역 | 데이터 접근 제어 및 민감 정보 보호 | 권한 관리, 트리거, 암호화, 익명화 |
무결성 검사 | 시스템 파일 변경 여부 확인 | Tripwire, AIDE, Samhain 등 |
5. 시험 대비 포인트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각 영역의 보안 기능
- 프로토콜과 무결성 검사 도구의 역할 및 특징
- 보안 관련 용어: IPSec, SSL/TLS, HTTPS, 트리거, 익명화
이 내용을 바탕으로 인터페이스 보안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각 영역별 보안 기능을 정확히 숙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