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70/100

코드(Code)의 개념 및 종류 정리


1. 코드(Code)란?

  • 데이터를 식별, 분류, 집계, 추출하기 위해 특정 규칙에 따라 부여된 기호입니다.
  • 사람들의 주민번호, 학번, 군번, 모델명 등이 모두 코드의 예시입니다.

코드의 주요 특징

  • 정보를 신속, 정확,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음.
  •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작성되어 정보 처리 효율에 영향을 줌.

2. 코드의 주요 기능 (5가지)

  1. 식별 기능

    • 데이터를 성격에 따라 구분하고 식별할 수 있게 함.
  2. 분류 기능

    • 특정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기능.
    • 예: 주민번호로 출생연도(예: 1999년생, 2000년생)나 성별(남자/여자) 분류.
  3. 배열 기능

    • 코드에 의미를 부여하여 데이터의 순서와 나열을 정함.
    • 예: 학번에서 앞 두 자리는 입학년도, 중간 두 자리는 학과 번호, 마지막 두 자리는 일련번호.
  4. 표준화 기능

    • 다양한 데이터가 표준 기준에 따라 표현될 수 있게 함.
  5. 간소화 기능

    • 복잡한 데이터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함.
    • 예: 제품의 모델명을 코드로 간소화.

3. 코드의 종류 (7가지)

  1. 순차 코드 (Sequential Code)

    • 자료 발생 순서크기 순서에 따라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코드.
    • 예: 학교에서 이름 순서키 순서로 번호를 부여하는 경우.
  2. 블록 코드 (Block Code)

    • 공통 항목끼리 묶어 블록 단위로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코드.
    • 예:
      • 총무부 코드: 100~199
      • 영업부 코드: 200~299
  3. 십진 코드 (Decimal Code)

    • 0~9 사이의 숫자로 대상을 계속 분할하는 코드.
    • 예: 도서관의 도서 분류 번호
      • 000: 철학, 100: 컴퓨터 공학, 110: 소프트웨어 공학
  4. 그룹 분류 코드 (Group Classification Code)

    • 데이터를 대분류-중분류-소분류로 나눠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코드.
    • 예:
      • 01-01-001: 본사-총무부-인사과
      • 02-02-002: 지사-영업부-마케팅과
  5. 연상 코드 (Mnemonic Code)

    • 대상을 직관적으로 연상할 수 있는 코드.
    • 예:
      • TV48: 48인치 TV
      • L15-220: 15W, 220V 램프
  6. 표의 숫자 코드 (Significant Digit Code)

    • 대상의 물리적 성질을 그대로 코드에 반영하는 방법.
    • 예: 자동차 타이어에 표시된 두께, 직경 등의 숫자.
  7. 합성 코드 (Composite Code)

    • 두 개 이상의 코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
    • 예: 비행기 코드에서 연상 코드 + 순차 코드 조합 사용.

4. 요약 및 시험 대비 포인트

  • 코드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해 규칙에 따라 부여된 기호입니다.
  • 코드의 기능에는 식별, 분류, 배열, 표준화, 간소화가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명확히 이해하세요.
  • 코드의 종류로는 순차 코드, 블록 코드, 십진 코드, 그룹 분류 코드, 연상 코드, 표의 숫자 코드, 합성 코드가 있습니다.
  • 시험 문제에서는 각 코드의 정의나 예시를 보고 종류와 기능을 맞추는 유형이 나올 수 있으므로, 코드의 특징을 정확히 암기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