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Deque(덱)

민트맛녹차·2021년 11월 15일
0

자료구조

목록 보기
4/4
post-thumbnail

Deque: Double Ended Queue(덱)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자료구조
큐와 스택을 합친 형태로도 생각 가능

Deque의 연산

push_front(item)

  • item 하나를 덱의 맨 앞부분에 추가

push_end(item)

  • item 하나를 덱의 맨 뒷부분에 추가

pop_front()

  • 덱의 맨 앞부분의 item을 제거

pop_end()

  • 덱의 맨 뒷부분의 item을 제거

front()

  • 덱의 맨 앞부분의 item을 반환

rear()

  • 덱의 맨 뒷부분의 item을 반환

isEmpty()

  • 덱이 비어있다면 True를 반환하고 비어있지 않다면 False를 반환

size()

  • 덱의 size를 반환

시간복잡도

Search(검색)

  • 특정 데이터를 찾을 때는 순차적으로 접근하여 찾으므로 시간복잡도 O(n)

Insert(삽입)

  • 덱은 맨 앞과 맨 뒤에 데이터를 삽입하므로 시간복잡도 O(1)

deletion(삭제)

  • 덱은 맨 앞과 맨 뒤의 데이터를 삭제하므로 시간복잡도 O(1)

참조
https://ko.wikipedia.or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