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3.24 웹 애플리케이션

김민성·2023년 3월 24일
1

프로토콜(protocol)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끼리 소통하기위해 필요한 공통된 약속

IP 주소 : TCP/IP 구조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
인터넷 보급률이 낮았던 초기에는 IPV4 버전으로 주소를 할당했지만 개인 PC의 보급으로 IPV4 버전으로
주소를 감당하기 힘들어 최근에는 IPV6 버전으로 주소를 할당한다.

TCP / UDP

포트번호 : 대상 IP 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번호

URL : 웹에 게시된 어떤 자원을 찾기 위한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

DNS :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HTTP : 웹 브라우저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로 가장 큰 특징은 Stateless(무상태성)이다.
쿠키 :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유저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보관하고, 다음 접속부터는 유저의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내서 유저를 서버가 식별하게 한다.
세션 : 세션의 경우 서버에 Session-Id 라는 고유 아이디를 할당해서 유저를 식별한다. 단순하고 유출이 되면 안되는 정보는 서버에서 관리를 하면서 세션 ID와 매칭해서 저장해 관리한다.

SSR vs CSR
SSR : Server Side Rendering 의 줄임말로 Javascript 가 웹 페이지를 브라우저에서 렌더링하는 대신에, 서버에서 렌더링한다.
CSR : Client Side Rendering 의 줄임말이며 클라이언트에서 Javascript 가 페이지를 렌더링한다.

차이점 : CSR과 SSR의 주요 차이점은 페이지가 렌더링되는 위치이다. SSR은 서버에서 페이지를 렌더링하고, CSR은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서 페이지를 렌더링한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다른 경로를 요청할 때마다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지 않고, 동적으로 라우팅을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의 첫 화면 렌더링이 빠르게 필요한 경우 SSR을 사용하는게 적합하고, 웹 페이지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많은 경우 CSR을 사용하는게 적합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