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

jsonLogic

jsonlogic.comjsonLogic은 완전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니지만 한가지 결정을 위임하기에 작고, 안전한 방법중 하나이다. 규칙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액션으로부터 동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operator" : "values" .. }언제나 이

2023년 4월 19일
·
0개의 댓글
·

ansible playbook

플레이북은 하나 이상의 플레이를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는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 관리 노드 또는 그룹을 지정플레이에는 작업을 선언하며, 작업은 모듈을 호출멱등성을 가짐(중요!)수학이나 IT에서 연산의 한 성질을 나타내며,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2023년 2월 22일
·
0개의 댓글
·

ansible inventory

Ansible은 인프라에 존재하는 여러 호스트를 관리함. 호스트의 목록 또는 그룹을 지정한 인벤토리가 정의되면 패턴을 사용하여 Ansible을 실행할 노드 또는 그룹을 선택함기본 인벤토리 파일은 /etc/ansible/hosts 이며, -i 옵션을 사용하여 다른 인벤토

2023년 2월 22일
·
0개의 댓글
·

ansible ansible.cfg

① ANSIBLE_CONFIG 환경 변수② 현재 디렉토리의 ansible.cfg③ 홈 디렉토리의 ~/.ansible.cfg④ /etc/ansible/ansible.cfgAnsible 작동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Ansible 구성 파일 외에도 ansible 명령의 옵션,

2023년 2월 22일
·
0개의 댓글
·

ansible ad-hoc

앤서블 공식 문서 ===> https://docs.ansible.com/ad-hoc 명령은 하나 이상의 관리 노드에 단일 작업을 실행하는 임시 명령거의 반복하지 않는 간단한 작업에 주로 사용 ansible pattern -m module -a "module

2023년 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책 정리(8)

학습목표운영적인 측면과 보안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용도로 쓰이는 이벤트에 대한 기록(로그)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기이벤트 로그 관리 시스템인 rsyslog에 대해 알아보고 설정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기systemd-journal을 통해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리눅스 책 정리(7)

학습 목표init 프로세스를 최신 리눅스에서 사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systemd 데몬 프로세스로 대체하게 됨. 이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이해하기systemd에서는 런 레벨 대신 타겟 유닛을 사용하여 운영 상태를 나타냄. 이 유닛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이해하기syst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리눅스 책 정리(6)

학습 목표 논리 볼륨의 기본개념 및 용어에 대해 알아보기실제 스토리지 장치를 사용하여 논리 볼륨을 구성하는 방법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6.1 논리 볼륨 소개: 디스크 장치 → 물리 볼륨 → 볼륨 그룹 → 논리 볼륨1) 물리 볼륨디스크 전체 또는 일부를 파티션으로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리눅스 책 정리(5)

학습 목표리눅스 시스템의 다양한 파일 시스템 종류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파일 시스템 종류에 따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파일시스템이 생성된 파티션에 디렉토리 형태로 접근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작업인 마운트(mount)에 대해 알아보고 특정 파일에 마운트 정보를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책 정리(4)

학습 목표디스크 구조에 대한 설명디스크인식 시 장치 이름 확인 방법디스크의 파티션을 구성하는 명령어를 실습으로 확인4.1 디스크 기본 구조4.1.1 디스크의 물리적인 구조Untitled4.1.3 디스크 플래터의 논리적인 구성요소디스크(Disk) > 파티션(Partiti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리눅스 책 정리(3)

3.1 단일성 작업 예약한번 실행되고 종료되는 작업시스템에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실행된 뒤 사라짐/var/spool/at 디렉토리에 존재하며 실행권한이 설정되어있음3.1.1 at 명령 사용 (현실에서 잘 사용 x)at option time-specctrl+d로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리눅스 책 정리(2)

2.1 확장 권한2.1.1 확장 권한의 종류1) setuid 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권한으로 프로세스를 실행대표적으로 passwd 명령에서 사용2) setgid일반적으로 디렉토리에 설정하여 사용setuid와 동일하게 파일의 사용자 그룹으로 실행3) stichy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리눅스 책 정리(1)

1.1 사용자 및 그룹 정보 파일사용자(USER) → 시스템은 사용자 번호(UID, User ID) 사용그룹(GROUP) → 시스템은 그룹 고유 번호(GID, Group ID) 사용기본 그룹: 모든 사용자는 최소 하나의 그룹에 소속되어있음보조 그룹: 사용자가 소속되는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CP/UDP

TCP tcp는 웹이나 이메일 FTP와 같이 정확한 데이터 전달이 필요한 통신에 사용된다.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데이터를 세그먼트(segment) 단위로 분할한다. TCP header 정보 Sequence number : 전송하는 데이터의 순서 (올바르게 재조립 용

2023년 1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OSI 7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정의)트랜스포트 계층 (컴퓨터 간의 통신을 정의)인터넷 계층 (컴퓨터 간의 통신을 정의)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컴퓨터 간의 통신을 정의)

2023년 1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FS 스토리지

NFS는 클라이언트/서버 서비스 모델을 사용하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공유 디렉토리에 접근 할 때 로컬 스토리지에 존재하는 디렉토리처럼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음. 마치 원도우 시스템의 공유 폴더와 유사하다. 그렇기에 NFS는 가상화 또는 클라우드 서

2023년 1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HCP 서버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정보를 동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응용계층 프로토콜의 이름이다. DHCP 서버는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 범위를 관리하며 DHCP 요청이 들어오면 IP 주소를 할당하고, 네

2023년 1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pache 웹 서버

Apache 웹 서버는 유닉스 기반의 NCSA HTTPd 웹 서버를 리눅스에서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리눅스의 성장에 힘입어 웹 서버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웹 서버로 자리잡았음.사용자의 요청은 HTTP 프로토콜 형식에 맞게 전송되어야 함. HTTP 요

2023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보안

SELinux(Security Enhanced Linux)는 MAC(Mandatory Access Control) 모델을 사용하여 사용자, 프로세스, 파일, 포트 등에 정의되어 있는 정책을 부여해 접근을 제어한다. SELinux는 각 사용자나 프로세스 그리고 파일에 보

2023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NS 서버

Ip 주소와 이름을 연결해 놓은 hosts 파일이 있지만 현재의 인터넷 환경은 호스트의 수가 너무 많아 모든 호스트를 파일에 직접 기록할 수 없다.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DNS를 고안하게 되었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을

2023년 1월 1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