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Hook이다.처음 컴포넌트가 마운트 되었을 때만, 특정 작업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tate 또는 props 변경시, 특정 작업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mount란?컴포넌트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
react로 test를 진행하던 중 의도한 바와 다르게 console에 명령어가 두 번 출력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전에 소셜로그인을 처리하면서 api요청이 여러번 발생하는 문제, 여러번 렌더링 되는 문제의 원인을 찾지 못한 것이 기억나 확실히 기록해두고자 해당 이슈를
모든 웹 브라우저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내장하고 있다. \-> 웹페이지를 화면에 렌더링하는 것이 목적node js 또한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내장하고 있다. \-> 브라우저 외부에서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결론: 웹 브라우저, node js에서
1995년, 브레던 아이크는 웹페이지의 보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를 제작 = js비동기 통신기존의 방식 = 화면이 전환되면 서버로부터 새로운 html을 전송받아 리렌더링 -> 효율 떨어짐, 깜빡임 현상비동기 방식 = 변경할 필요가 없는 부분은
프로그래밍 = 컴퓨터 , 인간 사이 커뮤니케이션이며 언어이다.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능력이 필요하다. 문제 해결 능력 != 알고리즘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문제를 단순하게 분해하며 , 구분하는 능력컴퓨팅적 사고능력<결론>프로그래머는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
https://www.youtube.com/watch?v=8ONJLWbZmUE위 링크는 재즈 유투브 채널의 "피아노는 그저 기계일 뿐이야" 동영상이다. 해당 내용의 핵심은 기교를 부리지 말고 클래식에서 네가 배운 템포를 그대로 가져가는 것, 보여지기 위한 멋,
모듈을 임포트 할 때, 이하와 같은 방식이 불편하다면?절대 경로를 활용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기본 cra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jsconfig.json파일 생성 (pakage.json위치)절대경로로 임포트 (컴포넌트, 이미지)
웹 상에서 웹 서버 및 웹브라우저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 프로토콜을 의미한다.처음에 www 상의 하이퍼텍스트 논문과 같은 문서를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미지, 음성 등 거의 모든 형식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짐클라이언트(Request)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방식은 쿠키, 세션, 토큰 3가지 방식이 있다.쿠키는 key - value 형식의 문자열 덩어리이다.클라이언트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해당 사이트의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 설치되는 작은 기록정보 파일이다.이를 통해 각 사용자
컴포넌트 간의 변수를 유통해주는 통로이다.<특징>첫번째이자 유일한 인자(파라미터)props는 오브젝트이다. (props = {변수명, 변수명})<사용목적>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임<예시>사람들과 협업시 , prop의 자료형을 까먹고 에러를 발생시킬 수
요약 1) data와 f를 가진 객체를 반환 2) 리스트로 객체를 반환한다는 사실이 중요! 3) 변수 접근에 대해 data0 처럼 인덱스로 접근해야함을 의미함 2가지 방법 존재두 방법의 차이 예시input 사용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