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 김지민은 잘 알려진 어느 회사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는 N개의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다. 김지민은 귀찮기 때문에, 한 번의 해킹으로 여러 개의 컴퓨터를 해킹 할 수 있는 컴퓨터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의 컴퓨터는 신뢰하는 관계와, 신뢰하지 않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A가 B를 신뢰하는 경우에는 B를 해킹하면, A도 해킹할 수 있다는 소리다.
이 회사의 컴퓨터의 신뢰하는 관계가 주어졌을 때, 한 번에 가장 많은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컴퓨터의 번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N과 M이 들어온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M은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신뢰하는 관계가 A B와 같은 형식으로 들어오며, "A가 B를 신뢰한다"를 의미한다. 컴퓨터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하나씩 매겨져 있다.
첫째 줄에, 김지민이 한 번에 가장 많은 컴퓨터를 해킹할 수 있는 컴퓨터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 모든 정점에 대해 bfs탐색을 하는데, 총 개수를 세야 하므로, queue에 새로운 원소가 추가될때마다 cnt + 1 을 해주고, 최종적으로 해당값을 return
- 1부터 n까지 반복하면서, 현재 노드와 연결된 개수들을 cnt에 저장
- 현재 노드의 연결개수 > 기존 최대값: 이면 최대값을 갱신하고, ans을 초기화 하고, ans에 추가합니다
- 현재 노드의 연결개수 = 기존 최대값: 이면 ans에 추가합니다
- 이렇게 하면, 최대의 값을 가지는 것들이 오름차순 순으로 ans에 들어감
import sys
sys.stdin = open("input.txt", "rt")
input = sys.stdin.readline
n= int(input()) #정점
m = int(input()) #연결수
graph = [[] for _ in range(n+1)]
for _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graph[b].append(a)
visited_dfs = []
print(graph)
def dfs(graph, cur_node, visited):
# 현재 노드를 방문처리
visited.append(cur_node)
graph[cur_node].sort()
# 현재 노드와 인접한 노드를 확인
for link_node in graph[cur_node]:
print(link_node, visited)
# 방문하지 않은 노드라면 재귀호출
if link_node not in visited:
dfs(graph, link_node, visited)
dfs(graph, 1, visited_dfs)
print(len(visited_df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