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하다보면 언젠가 한번은 내 스레드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할 때가 생긴다..(사실 아니긴 하지만..) 나의 경우 안드로이드 ANR에러를 마주쳐 스레드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다 > * 출처** : 게시물에 담기엔 너무 방대해 개념들은 링크로 걸어 놨습니
앱 아키텍처 안드로이드를 가볍게 Activity,Fragment 하나로 구성 한다면 상관이 없지만, 프로젝트 규모가 커짐에 따라 Activity 숫자는 증가하며 그에 따라 Fragment의 수도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면 UI기반 class인 Activty안에서 vi
안드로이드에서 기본적으로 데이터 처리를 위해선 remote DataSource local DataSource (RoomDB) 이 두가지를 사용한다 또한 여기서 remote DataSource에 해당되는 model은 주로 Retorifit2 를 사용하는데 이는 Http
DataBinding (데이터 결합)아니? view바인딩 이 끝이 아니였어?? 하겠지만!그건 순전 view만을 바인딩 하는 방법이고 내부에서 view와 데이터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DataBinding에 대해서도 알아보자!안드로이드 module수준 gradle에 추가이
사용법을 익히기 전 대체 Binding? 이뭔지 알아보자!Binding이란 구체적인 값,성격을 확정하는 것내 식대로 해석하면 주소를 이미 갖고 있다로 해석된다.따라서 컴파일,링크,설계 등등 컴파일 시간에서 걸리는 정적 바인딩 시간,런타임 중 동적바인딩 시간을 줄여줄 수
뭐든 방법을 알기전, 근본적 탐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 서 > Apk란 안드로이드 앱의 확장자로서 Android Package의 준말이다. 나아가 보자면 " 안드로이드의 소프트웨어와 미들웨어 배포에 사용되는 패키지 파일이며, '.apk'확장자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