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search vs. 벡터 DB: 내 서비스에 맞는 검색 엔진은?

이동휘·2025년 8월 4일
1

매일매일 블로그

목록 보기
49/49

안녕하세요! 벡터 데이터베이스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Milvus와 Qdrant가 어떻게 AI 시대의 '의미 기반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많은 개발자분들이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어? Elasticsearch도 벡터 검색(kNN) 되잖아요? 굳이 벡터 DB를 또 써야 하나요?"

매우 날카롭고 중요한 질문입니다. Elasticsearch는 오랫동안 검색 엔진의 왕좌를 지켜온 강력한 도구이며, 실제로 꽤 훌륭한 벡터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때문에 많은 분들이 두 기술의 경계에서 혼란을 겪곤 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기술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 명확히 짚어보고, 어떤 상황에서 전문 벡터 DB가 여전히 필요한지, 그리고 두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시너지를 내는 '하이브리드 검색' 전략까지, 여러분의 기술 선택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고자 합니다.

1. 근본적인 차이: '단어'를 찾는 사서 vs. '의미'를 이해하는 사서

두 기술의 차이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도서관의 두 명의 유능한 사서에 비유하는 것입니다.

Elasticsearch: 키워드 기반의 '어휘 검색(Lexical Search)' 전문가

  • 비유: 전통적이고 매우 유능한 '색인(Index) 카드 사서'입니다.
  • 작동 방식: 이 사서는 도서관의 모든 책을 읽고, 어떤 '단어'가 몇 페이지에 나오는지 역인덱스(Inverted Index)라는 카드에 꼼꼼하게 기록합니다. 사용자가 "사랑"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책을 찾아달라고 하면, '사랑' 카드만 보고 순식간에 해당 책들을 찾아주죠.
  • 강점: 키워드 매칭이 매우 빠르고 정확합니다. 검색어 추천, 자동 완성 등도 이 단어 기반 분석을 통해 매우 잘 수행합니다.
  • 한계: 사용자가 "두 남녀의 애틋한 감정"에 대한 책을 찾아달라고 하면, '사랑'과 '애틋한 감정'이 의미적으로 같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해 책을 찾아주지 못합니다.

전문 벡터 DB (Milvus/Qdrant): 의미 기반의 '벡터 검색(Vector Search)' 전문가

  • 비유: 최신 AI 기술로 훈련받은 '문맥 이해 사서'입니다.
  • 작동 방식: 이 사서는 책의 '단어'가 아닌 전체적인 '의미'와 '문맥'을 이해하여 벡터(Vector)라는 다차원 좌표로 변환합니다. '로미오와 줄리엣'과 '타이타닉 이야기'는 '비극적인 사랑'이라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므로, 벡터 공간에서 서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됩니다.
  • 강점: 사용자가 "두 남녀의 애틋한 감정"에 대한 책을 찾아달라고 하면, 그 문장의 '의미'를 벡터로 변환한 뒤, 벡터 공간에서 가장 가까운 책들을 찾아줍니다. 단어가 일치하지 않아도 의미만 통하면 찾아낼 수 있습니다.
  • 한계: "정확히 '사랑'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책만 찾아줘"라는 요청에는 Elasticsearch만큼 직접적이거나 빠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기술 구조와 인덱싱 방식의 차이

이러한 철학의 차이는 내부 기술 구조의 차이로 이어집니다.

항목Elasticsearch전문 벡터 DB (Milvus/Qdrant)
핵심 데이터텍스트 (Token, Term)숫자 배열 (Vector, Embedding)
주요 인덱스역인덱스 (Inverted Index) - BM25ANN 인덱스 (HNSW, IVF 등)
검색 방식키워드 매칭 (Keyword Matching)유사도 계산 (Similarity Calculation)
"유사도"의 의미단어의 출현 빈도 등 통계적 유사성벡터 공간 내의 거리, 즉 의미론적 유사성

"어? Elasticsearch도 벡터 검색(kNN) 되잖아요?" 네, 맞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 Elasticsearch의 벡터 검색: 기존의 강력한 '키워드 검색' 엔진에 '벡터 검색' 기능을 추가 장착한 형태입니다. 마치 세단 자동차에 오프로드 타이어를 장착한 것과 같습니다. 어느 정도 비포장도로를 달릴 수는 있지만, 태생부터 오프로드를 위해 설계된 지프(Jeep)만큼의 성능과 효율을 내기는 어렵습니다.
  • 전문 벡터 DB의 벡터 검색: 오직 벡터 검색만을 위해 태어난 시스템입니다. 엔진, 서스펜션, 차체 등 모든 것이 벡터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3. 그래서, 굳이 전문 벡터 DB를 써야 하는 이유

Elasticsearch의 kNN 기능도 훌륭하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Milvus나 Qdrant 같은 전문 벡터 DB가 훨씬 더 강력한 성능과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1. 순수 벡터 검색의 성능과 확장성이 극도로 중요할 때

    • 대규모 데이터셋: 수억, 수십억 개의 벡터를 다뤄야 할 때, 전문 벡터 DB는 메모리 사용량, 인덱싱 속도, 검색 지연 시간(latency) 면에서 훨씬 더 효율적입니다.
    •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요구사항: 실시간 이미지 검색이나 추천처럼 수십 밀리초(ms) 내에 응답이 와야 하는 서비스에서는, 벡터 검색에만 모든 리소스를 쏟아붓는 전문 DB가 유리합니다.
  2. 비정형 데이터(이미지, 음성 등)가 검색의 중심일 때

    • Elasticsearch는 태생이 텍스트 중심입니다. 반면, 전문 벡터 DB는 처음부터 이미지, 음성 등 모든 종류의 비정형 데이터를 벡터화하여 다루는 것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3. 복잡한 필터링과 결합된 벡터 검색 효율성이 중요할 때

    • Qdrant와 같은 일부 벡터 DB는 '사전 필터링(Pre-filtering)'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Elasticsearch의 kNN 검색도 필터링을 지원하지만, 복잡한 필터 조건 하에서는 전문 벡터 DB가 더 나은 성능을 보일 수 있습니다.
  4. 최신 벡터 검색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싶을 때

    • 벡터 검색 분야는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전문 벡터 DB는 이 분야에만 집중하므로, 새로운 인덱싱 알고리즘이나 양자화 기술을 훨씬 더 빠르게 도입하고 최적화합니다.

4. 하이브리드 검색: 둘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다!

현실 세계의 많은 고급 검색 애플리케이션에서는 Elasticsearch와 전문 벡터 DB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검색(Hybrid Search)'이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시나리오: 온라인 쇼핑몰에서 "올여름 유행할 시원한 느낌의 반팔 티셔츠"를 검색한다고 상상해 봅시다.

작동 방식:
1. Elasticsearch (키워드 검색): 먼저 '반팔', '티셔츠'라는 명확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품들을 1차로 걸러냅니다. (정확성 확보)
2. 벡터 DB (벡터 검색): "올여름 유행할 시원한 느낌"이라는 추상적이고 의미적인 부분을 벡터로 변환합니다.
3. 결합 및 재정렬 (Re-ranking): Elasticsearch가 찾아낸 '반팔 티셔츠'들 중에서, 벡터 DB가 계산한 '시원한 느낌' 벡터와 가장 유사한 상품들을 찾아 최종 결과의 상위로 올려줍니다.

이렇게 하면, 키워드의 정확성(Elasticsearch)의미의 풍부함(벡터 DB)을 모두 잡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훨씬 더 만족스러운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최종 요약: 각자의 역할과 쓰임새

Elasticsearch전문 벡터 DB (Milvus/Qdrant)
정체성범용 검색 엔진 (텍스트 검색의 왕)전문 벡터 검색 엔진 (유사도 검색의 전문가)
핵심 역할키워드 매칭, 로그 분석, 집계의미 기반 유사도 검색, 추천, 이상 탐지
언제 쓰는가?- 블로그, 뉴스, 쇼핑몰의 텍스트 검색
- 서버 로그 분석 및 시각화 (ELK 스택)
- 이미지/음성/동영상으로 비슷한 콘텐츠 찾기
- RAG 기반 AI 챗봇의 지식 저장소
벡터 검색가능 (부가 기능)핵심 기능 (존재 이유)
최고의 조합하이브리드 검색을 위해 함께 사용하이브리드 검색을 위해 함께 사용

결론적으로, Elasticsearch의 벡터 검색 기능은 많은 경우에 '충분히 좋은(Good enough)'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고의 성능, 최고의 효율, 그리고 최고의 확장성이 필요한 대규모 AI 애플리케이션의 심장부에는, 그 일을 위해 태어난 Milvus나 Qdrant 같은 전문 벡터 데이터베이스가 여전히 자신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으며, 앞으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