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serving - 1.2 MLOps 개론

기린이·2021년 12월 6일
0

부캠 TIL 🦆

목록 보기
52/53
  • Infra

    • 예상하는 트래픽
    • CPU, memory 성능
    • 스케일 업, 스케일 아웃
    • 자체 서버 구축(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 서비스
  • Serving

    • batch serving
      일정한 주기단위로 결과물이 나온다.
    • online serving
      실시간으로 input이 들어가고 실시간으로 output이 나온다.
  • Experiment, Model Management
    실험을 여러번 하게 되는데 여러 모델의 정보, 가중치, 성능등의 실험과 모델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다.

    • mlflow, wandb, neptune, comet, Valohai
  • Feature Store
    feature를 미리 가공해서 저장해놓는것. 주로 tabular 데이터에 많이 쓴다.

    • FEAST
  • Data Validation
    모델을 학습할 때와 비슷한 분포의 데이터가 입력으로 들어오는지 확인하는 작업

    • Data Drift
    • Model Drift
    • Concept Drift
    • TFDV(Tensorflow Data Validatation)
    • AWS Deequ
  • Continuous Training
    다시 학습하는 과정. retrain

  • Monitoring
    서빙한 모델의 지표, 인프라의 성능지표를 기록하는 것

  • AutoML
    자동으로 모델을 만들어준다.

앞으로의 강의에서는 위의 전체적인 프로세스중 infra, serving을 공부하게된다.

profile
중요한 것은 속력이 아니라 방향성, 공부하며 메모를 남기는 공간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