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 란 UX 의 중요한 기법중의 하나로써,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를 체계화하고 이용자가 가장 빠르고 정확히 원하는 콘텐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기술
프로그램의 구조를 명확히 파악하기에도 좋으며, 의사결정과정에서 구조적으로 구분된 자료를 통해 빠른 의사결정을 하기에도 용이하다.
IA 의 구성요소
- 정보구조 (Organization System) 의 정의
- 네이게이션 (Navigation System)
- 레이블링 (Labeling System)
- 검색 (Search System)
- 컨텐츠 디자인(Contents Design)
시각차이, 언어의 모호성, 언어의 이질성, 내부정책 등에 따라 정보를 분류해낼 수 있다.
주제별로 분류해 낼 수도 있으며, 이용자별, 작업지향형, 기능별, 상징별, 은유형 등으로 데이터 및 정보를 분류해 낼 수 있다.
서비스의 목정에 따라 정보를 분류하되, 내부정책 및 전략에 근거하여 최종 정보분류 작업에 들어간다. 이는 사용자가 얼마나 이해하기 쉽게 접근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니다.
서비스제공 공간에서 상호작용을 설계하는 것이며 따라서 사용자의 경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두뇌에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목적 : 네비게이션은 목적 중심적이며 행동 지향적이다.
<주요 요소들>
레이블링은 메뉴의 각 명명법, 컨텐츠에 사용되는 모든 사용법의 단어들 또는 지시하거나 도와주거나 설명하는 언어로 사용되는 텍스트를 의미한다.
이런 레이블은 고객 언어와 같은 언어를 사용해 만들어야하며 전문용어 대신 고객이 어떤언어를 사용하는지 주의깊게 관찰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중요 포인트!>
Knowing-item Searching : 이미 무엇을 찾을 지 구체적으로 구상하고 나서 찾는 검색행위로 이니 유저가 무엇을 찾을 것 인지 구체적인 목적이 명확한 상태를 의미
Casual-Browsing : 우연에 기인한 검색. 유저가 무엇을 찾을 것인지 구체적인 목적은 없지만 어떤 주제, 어떤 분야 등의 대략적 개념을 가지고 사이트의를 탐색하는 검색행위
존재 가능성 검색 : 내가 찾는 정보가 있는 사이트인지 없는 사이트인지 '존재 가능성'에 대한 검색이 수초 안에 이루어지며 없다고 판단될 시에 바로 다른사이트로 이동하며 검색하는 행위.
포괄적이며 전반적인 검색 : 어떤 키워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찾는 유저의 경우 하나의 사이트이상에서 정보를 포괄적으로 수직하게되는 경우를 뜻함.
Contents Design, Disposition System
콘텐츠 설계 및 배치, '스토리 보드 및 UI설계서'로 만들어지는 컨텐츠를 배치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하나의 화면에서 보여지게 될 정보를 어떻게 배치 해야 하는가에 대한 설계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