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Native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를 Andoroid Studio Emulator로 실행하는 방법
요즘 틈틈히 Next.js를 통해 개인 페이지 작업 중임 🤔 처음 Next.js를 생성할 때 typescript로 생성하지 않아서 모든 컴포넌트를 js 파일로 생성하면서 만들고 있었고, css는 *.module.css 를 사용하고 있었다. 아무래도 typescri
포트를 사용중이라는 에러매번 봐도 매번 까먹는 명령어 기억하기cmd창을 실행시켜서netstat -a -o 명령어로 에러를 발생시킨 포트 넘버와 그에 연결되는 PID를 찾은 다음taskkill /f /pid \[] \[] 자리에 방금 찾은 PID 넣고 입력해서 실행중인
자료 구조의 기본 중의 기본 Array, List, Linked List에 대해 알아보자!
github로 작업을 하다 보면, 다른 브랜치에서 작업 중인 내용을 내 브랜치에 적용하고 싶을 때가 있다. 해당 브랜치의 작업 내용이 아직 메인 브랜치로 merge되지 않았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cherry-pick!
Next.js는 모든 페이지를 사전 렌더링한다. 이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자바스크립트로 모든 작업을 하는 대신에, Next.js가 HTML을 각 페이지들을 위해 미리 생성한다는 것을 말한다. 사전 렌더링을 함으로써, 더 나은 성능과 검색엔진 최적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패키지 관리자는 프로젝트가 의존하고 있는 패키지들을 효과적으로 설치, 업데이트, 삭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 도구이다.
인터넷 상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컴퓨터 자원을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사용자는 인터넷 상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SaaS (Software as a Service)인터넷을 경유하여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제공하
EADDRINUSE 에러가 났을 때,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아이디를 찾아 에러를 해결하는 방법.
Git으로 작업을 하다보면 로컬 저장소의 내용을 업데이트 해야 될 때가 있다.원격 저장소의 최신 내용으로 덮어쓰는 방법!다만 이렇게 하면 로컬 저장소의 내용은 모두 날아가는 것이니 주의할 것.
The container name ~ is already in use 에러 처리 방법
작업을 하다보면, 로컬 저장소의 모든 변경사항을 삭제하고원격 저장소에 있는 코드로 재설정/덮어쓰기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개발을 진행하면서, 특정 변수에 값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될 일이 많았다. 지금까지 variable === undefined 를 사용했으나, undefined와 null의 차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무작정 사용했던 것 같아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null
일반적으로 함수 선언식은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로드되지만, 함수 표현식은 interpreter가 해당 코드에 도달할 때만 로드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함수 표현식은 호이스팅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의된 범위에서 로컬 변수의 복사본을 유지할 수 있다. 함수 표현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