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기록

매빈·2023년 3월 8일
0

DATABASE 1&2

목록 보기
1/3
post-thumbnail

Part 0. DATABASE 소개 및 본질 알아보기


FILE과 DATABASE

  • file: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성능과 보안의 한계가 있음.
  • database: file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함. mysql, oracle, mongoDB 등 다양한 database가 존재함.

DB의 입출력

  1. input: Create, Update, Delete
  2. output: Read

⭐️ CRUD 기능이 DB의 핵심!

Part 1. MySQL 서론


  1. 데이터베이스의 역할
    : 웹사이트에 데이터를 담는다.
  • 웹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세계의 유저에게 보여줄 수 있다.
  • 누구든 글을 쓰면 우리가 직접 제어하지 않아도 누구든 글을 작성할 수 있다.
  1. mysql 설치
  • 이건 딱히 기록할 게 없어서 설치 화면만 첨부!
  1. mysql mysql 서버 실행
    다음의 방법중 택일
  • setting > MySQL

  • terminal이용

    cd /usr/local/mysql/bin
    ./mysql -unroot -p
    [비밀번호 입력

Part 2. MySQL 기본


  1. MySQL의 구조
  • 표: 데이터가 저장되는 장소
  • 다양한 용도의 표가 여러가지 있을 때, 나눠진 표를 정리정돈해야함 -> 연관된 표끼리 grouping함, 이것을 database라고 함. 스키마라고도 부름.
  • database server: 스키마가 저장되는 곳
  1. MySQL 서버 접속
  • 사용자에 따라 권한이 다름
  • bin ./mysql uaoqlsdl: aoqlsdl라는 사용자로 MySQL에 접속하겠다는 뜻. 기본 유저는 root, 기본 유저이므로 모든 권환이 열려있지만, root로 작업하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에 따로 유저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
  1. MySQL 스키마의 사용
  • DB 생성:
    CREATE DATABASE [db 이름]
  • DB 삭제:
    DROP DATABASE [db 이름]
  • DB 조회:
    SHOW DATABASE [db 이름]
  • 스키마 선택
    SHOW DATABASE [db 이름]
  1. SQL과 테이블 구조
    1)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
    2) SQL의 두 가지 특징
    - 어떤 언어보다도 쉽다.
    - 중요하다, 대부분의 관계형db가 SQL을 사용한다. 압도적인 데이터 시스템이 SQL로 인하여 동작한다는 것.
    3) 테이블 구조
  • 표(table)
  • 행(row, record): table의 수평방향, 개별 데이터를 나타냄
  • 열(column): table의 수직방향,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냄

강의 끝!


수강 내역 인증

짧은 회고

  • 이미 MySQL을 사용해본 적 있어서 기본적인 문법을 알고 있어 나에게 쉽게 느껴지긴 한다. 그래도 개념적인 부분들을 은근 긴과하기 쉬워서 간단히 복습하기에 좋은 스터디인 것 같다!
  • 사실 터미널보다는 mysql workbench를 자주 사용하는 편인데, 앞으로는 터미널로 사용하는 연습도 해야겠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