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er: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는 브랜치
develop: 다음 출시 버전을 개발하는 브랜치
feature: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
release: 이번 출시 버전을 준비하는 브랜치
hotfix: 출시 버전에서 발생한 버그를 수정하는 브랜치
ex) Branch예시
Master
병합 대상 브랜치와 병합될 브랜치
feature 머지를 바로 master로 하면 git이 꼬일 수 있다는 점 주의
Title과 description작성을 통해 Create Merge Request를 만들수 있다. 코드 리뷰 후 머지할 수 있는 옵션도 있다.
Merge가 충돌되지 않으면 merge 버튼이 활성화되고 branch 삭제 옵션이 있으니 확인하자.
본 과정 설명은 윈도우10에서 git bash를 사용하였으며 Mac 환경일 경우 터미널 앱에서 git 명령어를 사용하여 따라할 수 있음
Fork 하기
Fork 레포지토리를 Clone 및 Branch 생성
Local 폴더에 Fork한 레포지토리를 clone
git clone "repo URL"
디렉토리 이동 후 자신만의 branch 생성
# change directory
cd cs-study
# branch 생성 및 checkout
git checkout -b "브랜치이름"
# 현재 존재하는 branch 확인 (*표시에 색이 다른 이름이 현재 브랜치)
git branch
# 위와 다른 점은 branch 생성과 checkout을 동시에 하는 것이 아니라 따로 한다
# branch 생성
git branch "브랜치 이름"
# branch checkout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수정 후 add, commit, push
브랜치 내용 수정 후 add
# .gitignore 항목을 제외한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스테이징
git add .
commit 및 push
# 스테이징한 파일들 commit 하기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 origin 원격브랜치에 내가 만든 브랜치(yunhwan)를 push
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
Pull Request 생성
Merge 이후 코드 동기화 및 Branch 삭제
원본 레포지토리에서 pull request가 merge되면 Fork한 레포지토리와 local 레포지토리의 동기화가 필요
Fork 레포지토리 main 브랜치가 업데이트가 필요해지면 Sync fork의 Update branch 버튼이 활성화 → 클릭
local 레포지토리에서 pull
# main branch로 변경
git checkout main
# local main 브랜치로 pull
git pull
local branch 삭제
# 현재 존재하는 branch 확인
git branch
# branch 삭제
git branch -d "브랜치 이름"
Fork한 레포지토리의 branch 삭제
원본 레포지토리를 remote branch로 등록
# remote branch 목록 보기
git remote -v
# 원본 레포지토리를 remote branch로 등록 (origin이 아닌 다른이름으로 생성)
git remote add "원격브랜치명" "원본 repo URL"
등록한 원격브랜치로부터 pull
# 원격에 있는 main이라는 브랜치로부터 현재 로컬 브랜치로 pull
git pull "원격브랜치명" main
Fork 레포지토리로 push
# 원격브랜치 origin/main으로 푸시
git push origin main
(부록) 마크다운에 이미지 링크로 첨부하기
버그 추적, 이슈 추적, 프로젝트 관리 기능 제공
백로그 : 프로젝트에서 해야 하는 일(요구사항)을 보여줌
스프린트 : 스크럼 보드의 개발 주기 단위
백로그에서 스프린트 만들기 누르기
스프린트가 생기면 이슈 생성 버튼을 통해 만들어서 넣어주어야 한다.
스토리, 작업, 버그, 에픽중에 선택하여 만든다.
밑에 이슈를 스토리, 작업에 연결하고 싶은 경우 연결할 이슈를 선택하면 된다.
이슈 만들기를 내리다보면 담당자를 선택할 수 있다.
레이블은 원하는대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어떻게 이슈를 해결해왔는지 알 수 있다.
이슈 먼저 만들고 스프린트 추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