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에서 변수란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이름을 가진 공간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공간이란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컴퓨터의 메모리를 가리킵니다. 변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과 20이라는 숫자를 더한 결과를 저장하고 싶을 때, 변수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필요한 값을 다시 사용하거나 수정할 때, 변수의 이름만 사용하면 되므로 코드가 더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변수를 선언하면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서 그곳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변수의 이름을 통해서 해당 메모리 공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쉽게 이해하면, 변수를 선언함으로써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에 이름을 부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화란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초기 값(첫 번째 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선언과 초기화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int a = 10; // 정수형 변수 a에 10 저장
int b = 20; // 정수형 변수 b에 20 저장
// 변수 사용
int result = a + b; // 변수 a와 b의 값을 더해 result 변수에 저장
// 결과 출력
System.out.println("a와 b를 더한 결과: " + result); // a와 b를 더한 결과: 30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이름을 가진 공간입니다. 이 공간에 저장된 값은 언제든 다른 값으로 덮어씌워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변수가 변할 수 있는 값을 저장함을 의미합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 = 10; // 변수 number에 10 저장
System.out.println("초기 값: " + number); // 출력: 초기 값: 10
number = 20; // 변수 number에 20 저장 (값 덮어씌우기)
System.out.println("변경된 값: " + number); // 출력: 변경된 값: 20
}
}
초기 값: 10
변경된 값: 20
위 예제에서 변수 number는 처음에 10을 저장했다가, 이후에 20으로 값이 덮어씌워졌습니다. 이처럼 변수는 필요한 시점에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는 특정 자료형(Data Type)을 가지며, 자료형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가 결정됩니다.
byte (1바이트)short (2바이트)int (4바이트)long (8바이트)float (4바이트)double (8바이트)char (2바이트) - 단일 문자 저장boolean (1비트) - true 또는 false 값만 저장다음 자료형은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며, 코드 작성 시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자료형입니다.
int: 기본 정수형. 크기는 4바이트이며, 대부분의 정수 연산에 사용됩니다.long: 더 큰 정수값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며, 크기는 8바이트입니다. 4바이트(약 20억)를 넘는 경우 사용하며 l, L 모두 사용 가능하나 l은 숫자 1과 헷갈릴 수 있어 대문자인 L 사용을 권장합니다. int age = 25; // 정수
long population = 8000000000L; // 정수 값이 크면 'L'을 붙여 long으로 표현
double: 기본 실수형, 크기가 8바이트이며, 정밀도가 높아 대부분의 실수 연산에 사용됩니다.double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double price = 19.99; // 실수
boolean: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표현합니다. boolean isStudent = true;
boolean isOver18 = agv > 18; // 조건에 따라 true/false
String: 문자열을 표현, 단일 문자 또는 문자열을 모두 다룰 수 있습니다.char 대신 String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ge = 25; // 정수형 변수
double height = 175.5; // 실수형 변수
char grade = 'A'; // 문자형 변수
boolean isStudent = true; // 논리형 변수
System.out.println("나이: " + age); // 출력: 나이: 25
System.out.println("키: " + height); // 출력: 키: 175.5
System.out.println("학점: " + grade); // 출력: 학점: A
System.out.println("학생 여부: " + isStudent); // 출력: 학생 여부: true
}
}
나이: 25
키: 175.5
학점: A
학생 여부: true
다음 자료형은 일반적인 코드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int를 사용합니다.int를 사용합니다.double보다 낮습니다.double을 사용합니다.String)을 사용합니다.Java에서 변수의 이름을 짓는 데는 규칙과 관례가 있습니다.
규칙은 반드시 따라야 하며, 지키지 않을 경우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관례는 필수는 아니지만, 전 세계 개발자들이 따르는 표준이므로 사실상 규칙처럼 여겨집니다.
1num, 1st 불가능num1, myVar1 가능my var, user account 불가능int, public, class 불가능낙타 표기법(Camel Case)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을 작성할 때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입니다.
orderDetail, myAccountstudentCount, maxScorea, b 같은 변수명 사용은 지양(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Person, OrderDetailfirstName, userAccountUSER_LILMIT, MAX_VALUEorg.spring.bootint, long (int가 기본, 큰 값은 long 사용)double (실수는 기본적으로 double 사용)boolean (true 또는 false 표현)String (문자나 문자열을 다룰 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