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Storage Cookie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html5에 등장한 Web Storage 5MB의 저장용량 요청 시 Headers에 전송하지 않음 문자열만 저장 가능 Web Storage 종류 로컬 스토리지 도메인 / 브라우저 별로 저장 ( 브라우저가 변경되면 로컬 스토리지도 바뀜) 직접 삭제해야 삭제 됨 (브라우저를 닫아도 삭제...
Cookie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서버가 보낸 작은 크기의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조각(최대 4KB) HTTP는 무연결성 무상태성의 특징 때문에, 서버와 연결이 끊어지고 재 방문시 다시 인증을 해야했음 Cookie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요청 시에 Request Header에 넣어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한다. cookie ...
쿠키와는 다르게, 유저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갖고있는 것이 아닌 서버에 session DB 안에 보관한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면, 세션 키를 쿠키에 넣어서 전달하고 세션 키를 이용하여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Session 특징 쿠키보다 더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음 서버에서 세션 객체를 생성하여, 요청받은 각 클라이언트 별로 고유한 세션 ...
앞서 본 session의 단점인 서버 저장공간 비용과 과부하를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것이 Token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면,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인증되었다는 의미로 Token을 부여함. Token은 세션이나 서버에 저장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음. Token의 특징 Stateless(무상태성) 방식 상태 유지를 하지 않는 것 유저의 인증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