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를 들자면 이런식으로 문제를 판단해 다른 계층에 있는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는것이다.이 계층에서는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1 ) 통신 단위는 비트(bit)이며 1과 0으로 나타내어진다.즉 전

이 계층에서는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1 ) 통신 단위는 비트(bit)이며 1과 0으로 나타내어진다.즉 전기적으로 On/Off 상태라고 생각 하면 된다.2) 단지 데이터를 전달만 할뿐 전송하거나 받으려는 데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전달을 수행할수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한다.1 ) 통신에서의 오류도 찾아주고 재전송도 하는 기능을 가지고있다.2 ) 맥 주소를 가지고 통신한다(MAC - 물리적주소)3 )이 계층에서 전송되는 단위를 프

이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라우팅)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도 다양하고, 라우팅하는 기술도 다양하다.이 계층은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따라 패킷을 전달해주는 것이 역할이다.이 계층의 대

TCP/IP 상에서 IP 계층이란 네트워크의 주소 (IP 주소)를 정의하고, IP 패킷의 전달 및 라우팅을 담당하는 계층OSI 7계층모델의 관점에서 보면 IP 계층은 네트워크계층에 해당즉,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 및 그에 수반되는 기타 역할을 함IP 계층에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이다. 보통 TCP프로토콜을 이용하며, 포트를 열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만약 데이터가 왔다면 4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서 5계층에 던져 준다. 단대단 오류제어 및 흐름제어 이 계층 까지는 물리적인 계층에 속

데이터가 통신하기위한 논리적인 연결 = 통신을 하기위한 대문세션 설정, 유지, 종료, 전송 중단시 복구 등의 기능이 있다.하지만 4계층에서도 연결을 맺고 종료 할수있기 때문에 어느 계층에서 통신이 끊어졌나 판단하기는 한계가있다. 그러므로 세션 계층은 4계층과 무관하게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 한다.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은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으로부터 덜어 준다. MIME 인코딩이나 암호화 등의 동작이

최종 목적지로서 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다. 해당 통신 패킷들은 방금 나열한 프로토콜에 의해 모두 처리되며 우리가 사용하는 브라우저나, 메일 프로그램은 프로토콜을 보다 쉽게 사용하게 해주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웹 상에서 웹 서버 및 웹브라우저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 프로토콜처음에는, WWW 상의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문서를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현재에는, 이미지,비디오,음성 등 거의 모든 형식의 데이터 전송 가능동작의 형태가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로 동작클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