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의 key를 기준으로 카운트 배열내의 특정 요소가 얼마나 있는지 카운트 배열내의 요소들 종류별로 카운트
iphone에서 input에 focus를 줬을 때 zoom이 되는 문제이 문제의 원인은 font-size때문이다. 가장 많이 득표한 스택오버플로우 답변에 따르면 font-size가 16px 미만인 경우 필드에 초점이 맞춰지면 Safari가 확대됩니다. 계산 된 font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물
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 심심할 땐? 카카오톡 게임별~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
상태코드는 서버로부터 리퀘스트 결과를 전달한다.클라이언트가 서버를 향해 리퀘스트를 보낼 때 서버에서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려주는 것이 상태 코드의 역할.HTTP 상태코드는 RFC2616에 실려있는 것 만도 40종류가 있고 게다가 WebDAV, Additional
국가별로 독자적인 문자열 인코딩을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SO에서 동일한 규칙으로 모든 언어를 표현할 수 있는 유니코드 문자 집합을 만들었다.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자열 인코딩. UTF-8은 8비트(1바이트)로 인코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최소 1바이트,
EUC-KR은 한국 산업 표준으로 지정된 한국어 문자 집합으로 문자 하나를 표현하기 위해 2바이트를 사용합니다. 단, 아스키 코드 문자를 표현할 때는 1바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스키 코드와 호환됩니다.EUC-KR은 모든 글자가 완성된 형태로만 존재하는 '완성형'코드입
웹 개발을 하다보면 문자열의 마지막 몇글자만 \*처리할 때가 있을 것이다.예를들어 0101234\*\*\*\* 이런식으로 말이다.어떻게 처리를 할까?반복문을 역시 써야하는걸까?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걸까?필자도 뭐가 더 나은 방법인지 했지만 뭔가 정규식으로 처리할 수
처음으로 표준을 정립한 문자열 인코딩 방식사용할 수 있는 문자의 종류에는 대문자, 소문자, 아라비아 숫자, 공백 및 특수 문자들이 있으며 문자를 표현할 때는 0붙 127까지, 총 128개의 숫자를 사용한다.참고 : 아스키 코드 표위의 표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아스
2진법을 사용하는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2진수로 변환하는 방식규칙 종류아스키코드EUC-KRUTF-8UTF-16UTF-32이러한 규칙 중 어느 것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글자가 올바르게 보일 수도, 글자가 깨져보일 수도 있다.왜 글자가 깨져 보일까?컴퓨
참고 https://www.zdnet.com/article/google-to-phase-out-user-agent-strings-in-chrome/
IOS safari에서어떤 버튼에 touchstart로 이벤트를 넣을 시 window.open 메서드가 작동 안하는 현상을 발견알아보니 IOS >= 9.0부터 touch이벤트 내에서 window.open을 사용할 수 없게 해놓았다는것을 발견앞으로 window.open을
다들 웹개발을 하실 때 click event를 많이 사용하실 겁니다. 아마 이런 식으로 이벤트를 추가하실텐데 pc에선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IOS 모바일 기기에서 확인해보면 약간 반응이 느린걸 알 수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이는 IOS가 의도적으로
HTTP란?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텍스트 기반으로 하겠다는 약속이다. 이렇게 약속했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에 맞춰 개발하고 정보를 교환한다. 웹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TCP/IP기반으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요청과 응답을 전송. 웹서버란? 웹서버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두 개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하...
문제 기존 MySQL에 한글 및 다른 언어가 깨지는 것을 처리하려면 character set을 utf8로 설정해야 했었다. 그렇다면 emoji같은 글자들은 어떨까? character set이 utf8인 게시판에 emoji로 된 글을 남겨 보았다. 글자가 깨져 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