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2022.04.01. 첫직장에 입사한 신입 FE개발자입니다🔥
post-thumbnail

프로토타입과 프로토타입 상속

개발을 하다 보면 기존에 있는 기능을 가져와 확장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예를 들어 user라는 객체가 있는데 이 user와 굉장히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 객체를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해보면 어떤 방식이 가장 효율적일까?그 방식 중 하나가 바로 프로토타입 상속(pr

2022년 4월 19일
·
0개의 댓글
·

Property flags and descriptors

객체에는 평소에는 보이지 않는 프로퍼티가 있다writable, enumerable, configuable, getter, setter인데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writable이 true이면 값을 수정할 수 있다따라서 위와 같이 false로 설정해주면 에러가 발생한다

2022년 4월 18일
·
0개의 댓글
·

constructor function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집중을 하였지만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에도 관심이 생겼고 언젠가 자바를 사용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 찾아봤다 constructor function 영어에서 알 수 있듯이 무언가를 생성하는 함수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객체를 여러개 만들기위해 사용되는

2022년 4월 18일
·
0개의 댓글
·

모바일 접근성(Mobile accessibility)

회사에서 개발하는 제품이 대체적으로 앱이라서 모바일 접근성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하여 접근성에 기본인 스크린리더기에 대해 MDN문서를 찾아봤다talkback은 안드로이드에 내장되어있는 스크린리더다하지만 안드로이드 버전에 따라 심지어 핸드폰모델에 따라 크게 다른

2022년 4월 14일
·
0개의 댓글
·

storybook

회사에서 storybook을 사용하는데 처음봤다찾아보니 컴포넌트 단위의 개발을 할 때 컴포넌트가 어떻게 보여지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툴이었다예를 들어 컴포넌트가 args로 color, size를 받는다면 스토리북을 통해 color와 size에 대해 임

2022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JAX, XMLHttpRequest 그리고 CORS

CORS라는 말을 종종 들어왔는데 회사 프로젝트에서 ' CORS에 유의하여..' 와 같은 말을 들어 이참에 정리해봤다CORS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먼저 XMLHttpReqeust와 이를 사용한 ajax에 대해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이 둘을 먼저 정리했

2022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JSDoc

회사 libs를 보는데 @param, @returns같은 것들이 쓰여있었다예전에도 이런 것들을 본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지만지금은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찾아봤다이러한 문서를 JSDoc이라고 하는데 Javadoc과 유사한 js용 API문서

2022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터치스크린 지원여부 확인

회사 프로젝트에서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코드가 있었다대충 이런식이었는데 이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봤다이름 그대로 동시 터치를 최대 몇개까지 지원하냐는 뜻이다예를 들어 아이패드에서 youtube를 최대화면으로 보거나 다시 축소할 때 두손가락으로

2022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VG

svg를 써본적이 손에 꼽는데 회사에서는 종종 사용한다고 하여 찾아봤다svg란 Scalable Vector Graphics의 약자로 확장 가능한 백터 그래픽, 즉 크기를 확대 축소할 수 있는 수학적 함수를 이용해 도형이나 선을 그려 표현한 그래픽이라 볼 수 있다이러한

2022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prop-types

js 프로젝트에서는 ts 대용품(?)같은 prop-types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봤다기본적인 validation은 다음과 같이 한다기본값을 설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다prop-types은 js 프로젝트에서 validation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default val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React.forwardRef

ref, key와 같은 특별한 키워드는 props으로 상속할 수 없다하지만 ref를 상속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할까?프로젝트에 React.forwardRef가 있어 이를 찾아봤다ref를 전달 받아 하위 컴포넌트에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위 코드를 보면 Rea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useCallback vs useMemo(feat. React.memo)

프로젝트를 보다가 useCallback, useMemo, React.memo를 봤는데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서 찾아보기로 했는데 먼저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에 대해 알아야 한다memoization이란 기존에 수행한 연산의 결과 값을 어딘가에 저장해두고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JSX Spread Operator

리엑트 프로젝트를 보면 props를 <Component {...props} />와 같은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자주 보았다느낌상 어떠한 의미인지는 알겠지만 좀 더 정확하게 알고 싶어 찾아보았다리엑트에서 attributes를 전달할 때 아래의 두 코드는 같다모든 pr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tyled-components attrs()에 대하여

프로젝트에서 .attrs()을 사용하는 것을 보았는데 이름에서 대충 attributes를 받아다 쓰는 건가보다 싶었다그래서 좀 더 구체적인 사용법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회사에서 모르는 내용이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시작한 블로그이므로 styled-componen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preventDefault()와 stopPropagation()의 차이

기본적인 이벤트를 방지할 때 e.preventDefault()를 많이 사용했었는데 프로젝트에서 e.stopPropagation()가 사용되고 있어서 두 개의 차이를 알아보기로 했다차이를 알아보기에 앞서 먼저 두 메서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부터 간단히 알아봤다a tag를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내가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

회사에 입사를 하여 개발자로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했는데 모르는게 너무많다 !그만큼 내가 많이 모자라다는 뜻이다그래서 내 모토인 조던피터슨의 말을 떠올리며 블로그를 시작했다“Compare yourself to who you were yesterday,not to who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