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OP] Transactional이 동작하지 않을 때는 프록시 객체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했는지 확인하자 (프록시 내부 호출 문제)

해로(haero77)·2023년 5월 24일
1

트러블 슈팅

목록 보기
4/6
post-thumbnail

들어가며

단축 URL 프로젝트 Shortify를 개발하던 중, @Transactional이 의도대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변경 감지를 이용해서 UPDATE 쿼리가 실행될 것을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쿼리가 실행되지 않아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포스팅에서는 문제를 인지한 경로부터,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담는다.


@Transactional이 의도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

상황

필자는 아래와 같은 작업을 하고 싶은 상황이다.

한 트랜잭션 안에서,
1. 엔티티를 객체를 생성하고 영속화한다.
2. 영속화된 객체에 필드를 할당함으로써 변경 감지가 일어나게 한다.

위 작업을 한 메서드 안에서 하는데, 해당 작업을 하는 메서드를 외부에서 호출함으로써 작업을 완수하고 싶다.

@Slf4j
@Service
public class ShortUrlCreator {

	// ...

	// ShortUrlCreator 외부에서 실행하는 메서드
	public Long create1(ShortUrlCreateRequest request) {
		if (request.expirationExists()) {
			return create2(request.url(), ShortUrl.DEFAULT_EXPIRATION_PERIOD);
		}
		return create2(request.url(), ShortUrl.MAX_EXPIRATION_PERIOD);
	}

	@Transactional
	public Long create2(String originUrl, Period expirationPeriod) {
		// 엔티티 생성 
		ShortUrl shortUrl = ShortUrl.createWithoutShortenedUrl(originUrl, expirationPeriod);

		// 영속화 
		shortUrlRepository.save(shortUrl);

		// 엔티티 필드에 새로운 값 할당. 변경 감지로 UPDATE 쿼리 실행할 것으로 기대
		shortUrl.assignShortenedUrl(Base62Encoder.encode(shortUrl.id()));

		return shortUrl.id();
	}
}
image

내가 의도했던 흐름은 다음과 같았다.

  1. ShortUrlCreator 객체가 아닌 다른 클라이언트 객체가 create1() 을 실행
  2. ShortUrlCreator가 자기 자신의 create2() 호출
    • 트랜잭션 시작
    • 엔티티 생성
    • 엔티티에 필드 할당
    • 트랜잭션 커밋

create2() 메서드에 @Transactional을 적용했으니 당연히 트랜잭션이 적용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트랜잭션이 수행되지 않았다.


문제

@Test
@DisplayName("ShortUrl이 생성된 뒤 단축된 URL이 존재한다.")
void createShortUrl() {
    // given
    ShortUrlCreateRequest createRequest =
        new ShortUrlCreateRequest("https://github.com/haero77", false);

    // when
    Long savedId = shortUrlCreator.create1(createRequest);

    // then
    ShortUrl findShortUrl = shortUrlRepository.findById(savedId).get();

    String actual = findShortUrl.shortenedUrl();

    assertThat(actual).isNotNull(); // 테스트 실패. actual이 null이다. 
}

예상대로라면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시작되고, 커밋 될 때 엔티티 매니저 내부에서 플러시가 호출되어 변경감지가 일어나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


image image

실제로 UPDATE 쿼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변경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Transactional을 메서드에 적용해도, 의도와는 다르게 트랜잭션이 수행되지 않은 것이다.


원인

결론부터 말하면, 트랜잭션이 수행되지 않은 것은 스프링의 트랜잭션 AOP가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Transactional을 사용하면, @Transactional을 사용하는 객체를 상속하는 프록시 객체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며, 의존관계 주입 시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image

문제의 테스트를 디버깅 해보면, 실제 객체가 아닌 ShortUrlCreator$$CGLIB처럼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만 트랜잭션 프록시를 적용할 수 있는데, 프록시 객체의 create1()을 호출할 때 create1()@Transactional이 없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가 적용되지 않은 것이다.


image

프록시 객체가 호출되는 과정을 빈 주입단계 부터 자세히 살펴보자.

  • 가장 먼저, shortUrlCreator 객체를 주입할 때 실제 객체가 아닌 프록시 객체 ShortUrlCreator$$CGLIB가 주입된다.
    • @Transactional을 사용하는 메서드가 하나라도 존재하면 트랜잭션 AOP가 적용되는데, 트랜잭션 AOP는 기본적으로 프록시 AOP로 동작하기 때문에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 클라이언트 객체를 통해 프록시 객체의 create1()을 호출한다.
  • 트랜잭션 프록시가 호출되지만, create1()@Transactional이 없으므로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 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의 create1()을 호출한다.
  • 실제 객체는 this.create2()를 호출한다.
    • Java에서 메서드 앞에 별도 참조가 없을 때는 this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의 인스턴스를 가리키기 때문에, create1() 내부에서 create2()를 호출할 때 this.create()로 실행된다.

결국 엔티티를 영속화하는 shortUrlRepository.save(shortUrl) 때만 트랜잭션이 수행되므로, 트랜잭션 범위 밖에서 필드를 할당하는 shortUrl.assignShortenedUrl(Base62Encoder.encode(shortUrl.id()))의 경우 변경 감지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은 것이다.


메서드가 트랜잭션 범위 안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메서드가 실행되는 시점에, 트랜잭션에 속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가 제공하는 isActualTransactionActive()를 사용하면 된다.

image

isActualTransactionActive()는 해당 메서드를 호출하는 메서드가 트랜잭션에 속해 있는지를 boolean값으로 리턴한다.


@Slf4j
@Service
public class ShortUrlCreator {
	
    // ...
    
    public Long create1(ShortUrlCreateRequest request) {
		
        // 트랜잭션이 실행 중인지 확인
        boolean is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create1() TxActive = " + isTxActive);
        
		// ...
    }
    
    @Transactional
    public Long create2(String originUrl, Period expirationPeriod) {
		
        // 트랜잭션이 실행 중인지 확인
        boolean is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create2() TxActive = " + isTxActive);
    
        // ...
    }
}

isActualTransactionActive()를 이용하여, 기존의 create1()create2()에 각 메서드가 트랜잭션 범위에 속해있는지를 확인하는 코드를 추가했다.


image

결과를 확인해보면 create1(), create2() 모두 트랜잭션에 속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해결

create2()가 트랜잭션 범위 안에 속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이므로, create2()가 실행될 때 트랜잭션 범위 안에 속하도록 수정하자.

@Slf4j
@Service
public class ShortUrlCreator {

    // create1() 호출 시 프록시 AOP가 호출되게 한다.
    @Transactional 
    public Long create1(ShortUrlCreateRequest request) {
		
        // ...
        
    }
    
    private Long create2(String originUrl, Period expirationPeriod) {
		
        // ...
        
    }
}

먼저 기존 create2()에 붙였던 @Transactional을 제거하여 create1()으로 옮겼다. 또한 create2()의 경우 현재 외부 객체에서 직접 호출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접근 제어자를 private으로 변경하였다.


image

위처럼 코드를 수정하고 실패했던 테스트를 다시 수행하면 정상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원리는 다음과 같다.

image
  • 프록시 객체의 create1() 호출
  • 프록시 객체의 create1()@Transactional이 있으므로, 프록시 AOP가 호출된다.
  • 프록시 AOP가 호출되어 트랜잭션 시작
  • 실제 객체의 create1() 호출
  • this.create2() 호출
  • 트랜잭션 커밋
  • 변경 감지 동작 👉 UPDATE 쿼리 실행

이전의 경우 create2()가 트랜잭션에 속하지 않아 변경 감지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의 경우 create2() 실행 전에 트랜잭션을 실행함으로써, 트랜잭션 범위에 속하게끔 변경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변경 감지가 일어난 것이다.

문제는 해결했지만 위 방식의 경우 create1(), create2() 모두 트랜잭션에 속하게 된다. 가능한 트랜잭션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 create2()만 트랜잭션에 속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클래스를 분리함으로써 프록시 내부 호출 피하기

create2()를 실제 객체에 의해 내부 호출이 되게 하지 않고, 프록시 객체에 의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잭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Slf4j
@Service
public class ShortUrlCreator1 {

    private final ShortUrlCreator2 shortUrlCreator2;
    
    // shortUrlCreator2를 상속하는 프록시 객체 'shortUrlCreator2$$CGLIB' 이 주입된다. 
    public ShortUrlCreator1(ShortUrlCreator2 shortUrlCreator2) {
        this.shortUrlCreator2 = shortUrlCreator2;
    }
    
    public Long create1(ShortUrlCreateRequest request) {
        if (request.expirationExists()) {
            return shortUrlCreator2.create2(request.url(), ShortUrl.DEFAULT_EXPIRATION_PERIOD); // 프록시 객체의 create2() 호출
        }
        return shortUrlCreator2.create2(request.url(), ShortUrl.MAX_EXPIRATION_PERIOD); // 프록시 객체의 create2() 호출
    }
}

@Service
public class ShortUrlCreator2 {
    
    @Transactional
    public Long create2(String originUrl, Period expirationPeriod) {
		
        // ...  
    }
}

기존의 ShortUrlCreator 클래스를 ShortUrlCreator1ShortUrlCreator2로 분리하고, 각각 create1()create2()를 갖게 했다.


image

실행과정을 빈 주입 단계부터 살펴보자.

  • shortUrlCreator1@Transactional을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프록시 객체가 빈으로 등록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객체가 빈으로 등록된다. 반면, shortUrlCreator2의 경우 메서드에 @Transactional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shortUrlCreator2의 프록시 객체가 빈으로 등록된다.
  • 클라이언트 객체가 shortUrlCreator1.create1()을 호출한다.
  • shortUrlCreator1가 참조하는 shortUrlCreator2는 실제로는 프록시 객체이므로, 프록시 객체의 create2()를 호출한다.
  • create2()@Transactional이 있으므로, 프록시 AOP가 적용된다. 따라서 트랜잭션이 시작된다.
  • 실제 객체의 create()가 수행된다. 트랜잭션 범위에 속하므로 정상적으로 변경 감지가 일어난다.

image

디버깅을 해보면, 실제로 ShortUrlCreator의 필드 shortUrlCreator2에는 프록시 객체 shortUrlCreator2$$CGLIB이 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 메서드를 호출하므로, 프록시 AOP가 동작하여 정상적으로 트랜잭션이 수행된다.

결국 @Transactional을 사용할 때 프록시 AOP가 동작하는가 / 안 하는 가의 기준은 @Transactional이 붙어있는 메서드를 호출할 때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 호출하는가 / 실제 객체를 통해 호출하는가에 따라 달렸다. 프록시 AOP가 동작하려면, 반드시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만 메서드가 호출되어야한다.


본문을 마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도와주신 영한님의 답변을 첨부한다.

image

(영한님 답변 내용 캡쳐)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Transactional이 의도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봤다.공부하며 @Transactional프록시, AOP 개념에 대해 부족함을 느꼈기에 이에 대해 추가적으로 공부해보려한다.

@Transactional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는, 프록시 객체를 통해서 메서드를 호출한 것이 아니라 실제 객체를 통해 호출했는지 의심 해보자.

마침.


추가적으로 공부할 것

  • 스프링 프록시, AOP
  • @Transactional

※ Reference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rofile
Every Run, Learn Counts.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5월 25일

스프링에서 Bean 객체는 그냥 모두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의 유무에 따라 프록시 객체가 사용된다는 점이 놀랍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