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는 맛만 봐야지 했는데 아주 쓴맛을 봐 버렸네진행중인 요가/필라테스 예약앱 프로젝트 요가요 🧘♀️ 의 프론트가 점점 완성이 되어가고 있다.그래서 "자! 이제 API를 한번 만들어볼까나~!" 하고 Django를 펼쳤다......장고 쉽다매..... 초장에 Us
호스트 객체(Host Objects)와 네이티브 객체(Native Object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자바스크립트 언어 규약(ECMAScript)으로 정의되어진 객체. 애플리케이션 전역의 공통 기능을 제공한다. 네이티브 객체는 애플리케이션의 환경과 관계없이 언제
본 게시물은 "생활코딩 - Webpack" 강의를 요약정리한 글입니다.: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는 개발 자동화 도구(생산성 향상)webpack은 파일을 묶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작업들이 실행되도록 작업 계획을 세워주기도 함.sass, typescript,
Data → Information → DBMS(DataBase Management Software)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영구적인 데이터의 보관. 미리 정해진 테이블 포맷.NoSQL-DBMS: not only structured query language,
정답은 아니고 혼자 풀어본 코드이니 아 이렇게도 푸는구나~하고 참조해주세요! 정확한 답은 깨끗한 엘리님의 코드로 확인🌞
출처 : NHN 엔터var : 함수 스코프, Hoisting 발생const, let : 블록 스코프 \- const : 선언 이후 수정 불가. BUT 프로퍼티는 수정 가능표현식이 짧아지며, this 바인딩 이슈도 해결해준다.화살표 함수는 해당 컨텍스트의 this 객체
✅ TOAST UI Front-end Style Guide (HTML/CSS/Scss) 올해 초 퍼블리싱 프리랜서 일을 할 때 계속 들었던 생각. > "어.. 다른 사람들도 이런 식으로 코딩하나?😗 변수명... 아 약간 구린데" 실무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바로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