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시작하는 Git (11)

Do_Doolly·2022년 6월 20일
0

형상관리 도구

목록 보기
11/11
post-thumbnail
  • 글에 적은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은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원격 저장소 생성

원격 저장소의 정의를 알았으니 직접 만들어보자! 가장 무난하게 쓰이고 무료인 Github에서 쉽게 만들 수 있다.
Github 사이트를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메인 화면이 보인다.

아이디가 없다면 맨 오른쪽 위의 Sign up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 하자

처음에 별다른 설정을 안했다면 정말 밋밋한 메인 화면이 보일텐데, 차차 꾸미기로 하고 왼쪽에 보면 Repository(저장소)를 만드는게 있다. New를 클릭해 새로운 원격 저장소를 생성한다.

맨 위에서부터 작성하면 되는데, 먼저 저장소의 이름을 입력한다. 여기서 나는 git_test라고 명명했다.
다음으로 외부에 공개할 public 저장소인지 개인만 볼 수 있는 private 저장소인지 선택해야 한다. 테스트를 위해 private으로 했지만 소스에 굳이 보안이 필요 없다면 public으로 하는 것을 추천한다!

생성을 누르고 위와 같이 나오면 첫 원격 저장소가 만들어진 것이다! 😁


🧐 원격과 로컬

1. 토큰 생성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를 연결하기 전에, 이전에는 Github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갖고도 원격 저장소로 연결됐지만, 이제는 보안이 강화되어 토큰 혹은 SSH인증을 통해서만 연결할 수 있다. 옛날이 편했다...

토큰을 만들기 위해서는 오른쪽 상단의 개인 설정으로 들어가야한다.

여러 설정 메뉴가 있는데, 왼쪽 맨 아래에 개발자 설정이 있다. 클릭해서 들어가자

개발자 설정 화면에서 왼쪽 제일 밑에 메뉴인 Personal access tokens에 들어가면 새로운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Note에는 토큰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적으면 되고, 아래 만료 날짜를 설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설정하되 무제한 기한은 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이제 다 왔다! 토큰을 생성하고 나면 위 화면처럼 key값을 알려준다. 이걸 잊어버리거나 공유되지 않게 본인만 아는 메모장에 복사해둔다! 혹여라도 노출됐다면 토큰을 삭제하고 다시 만들면 된다. 이제 원격 저장소 연결할 준비 끝 🥳

2. 원격 저장소 연결

그 동안 둘리와 희동이가 만든 git 로컬 저장소를 이제 Github의 원격 저장소로 동기화 해보자. 지금은 원격 저장소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받는 것이 아닌 업로드만 하려고 한다.
원격 저장소를 git에 추가해야 하는데,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git remote add [단축 이름] [원격 저장소 URL]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bbaekddo/git_test.git

여기서 origin은 원격 저장소의 별칭(?) 같은건데, 보통 origin으로 쓴다.
명령어를 입력했는데 아무 반응이 없다면 잘 된 것이다.

3.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

이제 Push 명령어로 로컬에서 원격 저장소로 git을 동기화하면 된다!

$ git push origin main


명령어를 입력하고 나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게 나온다. 본인의 Github 계정 아이디와 토큰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오류가 뜨고 Push가 되지 않는다!)

git log로 보면 브랜치에 origin/main이라는게 새로 보일 것이다. origin/[브랜치명]은 모두 원격 저장소에서 만들어진 브랜치를 의미힌다

마지막으로 Github 저장소에 들어가보면 내가 지금까지 만든 git이 모두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마무리

이제 진짜 Git과 관련된 포스팅은 어느 정도 끝나간다. 처음에 작성할 때도 원격 저장소에 대한 부분까지 쓰려고 했는데 무려 5개월이란 시간이 걸렸다... (이놈의 귀찮음!!)
업로드를 봤으니 원격 저장소에서 다운로드 하는 방법과 원격 저장소와의 병합에 대한 얘기를 끝으로 일단 Git 포스팅을 마무리할 생각이다!



& Git 강의 링크

생활코딩 Gitn

profile
생각하면 복잡하니까 일단 해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