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렉션 프레임웍이란, '데이터 군을 저장하는 클래스들을 표준화한 설계'를 뜻한다. 의미를 나누어 생각해보자 컬렉션는 다수의 데이터를 뜻하고 프레임웍 은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방식을 뜻한다. 컴퓨터세계속에서 쓰이는 단어이다.(나중에 정리하겠다. 틀이 짜여져있고 그 속에서
List는 중복을 허용하고 순서가 유지된다. 특징 동일한 특성의 데이터들을 묶는다. 반복문(loop)내에 변수를 이용하여 하나의 묶음 데이터들을 모두 접근할 수 있다. list의 길이가 가변적이다. (dynamic allocation) 데이터들이 연속적으로 나열된다
첫번째 시간에 만든 List interface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것이다. java에서 제공하고 있는 ArrayList는 추가된 기능이 너무나도 많다. 그래서 최소한의 필수적인 메소드와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글을 쓸것이다. ArrayLis
linkedlist는 링크로 서로를 연결하는 List이다. 그중에서 단일 연결 링크드 리스트를 구현해 보겠다. 이렇게 서로 연결되어있다. 다시말하지만 중복을 허용하고 저장순서가 유지된다. 추가할 때 어디서 추가할것이라고 말을 하지 않으면 뒤에 append한다.
Doubly Linked List는 링크가 전노드를 가리키는 링크와 다음 노드를 카리키는 링크 두개가 있다. Singly Linked List와 비슷하지만 전노드를 가리키는 링크가 있기 때문에 노드를 찾을때 시간이 덜 걸릴 수 있다.
먼저 Stack에 대해서 알아보자.Last in First out Lifo라고 부른다(후입선출).무거운 책을 눕혀서 쌓는다고 생각해보자. 차곡차곡 책이 하나씩 쌓일것이고 제일 처음에 들어온 책은 맨 밑에 위치할 것이고 최근에 들어온 책은 가장 위에 위치할 것이다. 책을
LIFO (Last in firt out) 방식의 Stack을 구현한다.기본적으로 Stack의 내부에서 최상위 타입 배열인 Object\[]배열을 사용하여 데이터들을 관리한다.상자에 a,b,c가 쌓여있다고 생각해보자 뺄때 무엇을 빼는게 좋겟는가?c부터빼야 나머지를 뺄
큐 게임을 하면 자주 듣게된다. 큐잡혔다! 의 큐가 이 큐이다. First In First Out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이다.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간다.자바 공식문서의 Queue인터페이스인데 6개밖에 없다.add - offerelement - peekpoll - r
선입선출의 대표적 자료구조인 Queue를 구현해보자.Java에서 제공하고 있는 Queue인터페이스가 있고 Queue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라이브러리는 크게 PriorityQueue, ArrayDeque, LinkedList가 있다. LinkedList에도 Queue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