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는 인프런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김영한)(https://www.inflearn.com/course/ORM-JPA-Basic애플리케이션은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 객체를 관계형 DB에 관리CRUD, SQL를 자바 객
src/main/java/jpabook.jpashop/controller/에 Controller 클래스 모음매번 include해야함실무에서 유용함코드의 중복 적음Member 엔티티와 MemberForm의 분리: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받아올 때의 validation과 실
extract variable: option + cmd + V create test: cmd + shift + T simplify code: option + enter block comment: option + cmd + / line comment: cmd + / ma
본 문서는 인프런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김영한) 강의를 공부하며 작성한 개인 노트입니다. 🌻 주문 기능 테스트 현재 테스트는 JPA 공부를 위해 디비도 사용하여 테스트하지만, 더 좋은 테스트는 순수 자바만을 이용한 단위 테
본 문서는 인프런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김영한)(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JPA-%ED%99%9C%EC
본인이 공부하면서 심심할 때마다 업데이트하는 목록임. 자동 configuration & 컴포넌트 스캔@Configuration + @ComponentScan + @EnableAutoConfiguration 와 동일 이제 수동으로 빈 등록 가능개발한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
순서: 회원 엔티티 코드 다시 보기 > 회원 리포지토리 개발 > 서비스 개발 > 기능 테스트스프링이 entity manager를 만들어서 주입(injection)해줌JPA 쿼리를 직접 입력하여 사용findAll() 등의 메서드에 사용됨쿼리 내 :variable는 .se
계층형 구조repository에서 디비 접근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는 (entity를 포함하는) domain 참조단방향으로 흐르지만 controller에서 repository 직접 접근도 가능controller, web: 웹 계층serv
업로드중..회원은 상품 여러개 주문할 수 있음한 주문에 여러 상품 포함 가능상품 - 상속구조업로드중..다대다 관계는 운영에 사용하면 안됨 > 일대다 관계로 풀어내야 함양방향 연관관계는 지양하자 > 설계단계에는 단방향 연관관계가 좋음객체에서는 다대다 관계가 가능하지만 관
플러그인: 라이브러리 디펜던시까지 관리 리포지토리: mavenCentral()에서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겠다디펜던시 (의존관계): start.spring.io에서 선택한 라이브러리 전부여기에 등록된 라이브러리가 의존하는 라이브러리까지 모두 포함됨클래스에 getter/
모든 메소드의 호출 시간 측정공통 관심 사항(cross-cutting concern) vs. 핵심 관심 사항(core concern)공통 관심 사항: 시간을 측정하는 로직핵심 관심 사항: 비즈니스 로직 등try-catch 형태로 인해 시간을 측정하는 로직(공통 관심 사
build.gradle에 dependencysrc/main/java/hello.hellospring/repository에 JdbcTemplateMemberRepository 생성implements MemberRepositoryJdbcTemplate을 사용하도록 스프링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방법:1\.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2\.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컨트롤러가 서비스를 통해 기능 작동빈 등록을 통해 가능케 함src/main/java/hello.hellospring/controller에 MemberCont
데이터: 회원 ID, 이름기능: 회원 등록/조회컨트롤러: 웹 MVC 컨트롤러서비스: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리포지토리: 데이터베이ㅇ스에 접근, 도메인 객체를 디비에 저장/관리도메인: 비즈니 도메인 객체 (예) 회원, 주문, 쿠폰인터페이스 사용 이유: 아직 데이터 저장소
스프링 부트에서 제공되는 기능/static 폴더에서 찾음내장 톰캣 서버에서 요청을 받아 넘김스프링은 컨트롤러에서 hello-static을 찾음 (컨트롤러가 우선순위를 가지기 때문)그 다음 resources/static에서 찾아서 반환MVC: Model (User int
Project: Gradle - GroovySpring Boot: 2.3.xLanguage: JavaPackaging: JarJava:11Dependencies: Spring Web, ThymeleafsourceCompatibility: 무슨 자바 버전과 맞는지repo
REST framework는 APIView 클래스를 제공한다APIView 클래스는 장고의 View 클래스의 섭클래스handler 메소드에 전달되는 request는 REST 프레임워크의 Request 인스턴스임장고의 HttpRequest 인스턴스 해당 Xhandler 메
3주차 피드백 후 느낀 점4주차 풀며 고민한 점배운 점4주차를 마무리하며view 패키지 분리로 인해서 이미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이 피드백을 따르고 있었지만 더 의식하려고 노력 중. 이게 아직도 조금 어렵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적게 구현하려다가 컨트롤러 클래스에 인스턴스
3주차는 월요일 밤샘을 야기했고 결과적으로 디비 시험을 망치게 된 ... 행복한 미션이였다.2주차 피드백 후 느낀 점3주차 풀며 고민한 점배운 점3주차를 마무리하며지금껏 상당히 성의 없는 리드미를 작성했는데 정곡에 찔려서 ... 앞으로는 열심히 기능 구현 목록 작성해야
매주 과제를 제출하면서 후기까지 올리는게 목표였는데 휘몰아치는 과제로 인해 과제조차 겨우겨우 제출하는 4주였다 ㅠㅠ남은 기억마저 잃어버리기 전에 얼른 쓰는 중.1주차 피드백 후 느낀 점2주차 풀며 고민한 점배운 점2주차를 마무리하며기능 하나 구현할 때마다 커밋하려니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