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40번: 이차원 배열과 연산코드아이디어개수를 ArrayList에 Node 형태로 저장하고 정렬하여 집어넣기
15686번: 치킨 배달코드아이디어치킨집 n개중에 m개의 조합을 구하여 치킨거리를 다 구해 정렬하고 최소를 구한다.
15684번: 사다리 조작코드아이디어사다리를 실제 내려가보면서 체크하는 함수 check()양 옆에 이미 사다리가 있는지 판별하는 함수 canGo()DFS내려갈때 i+1이 아니라 i로 해야 같은 줄에 사다리를 여러개 추가하는 경우가 커버됨
15683번: 감시코드아이디어각 카메라별로 switch하여 임시 배열(temp)을 생성하여 DFS 돌기3번 카메라에서 아래 코드 없으면 무한 루프 발생
14891번: 톱니바퀴코드아이디어왼쪽의 2번과 오른쪽의 6번이 겹치는지 확인미리 기어를 돌릴지 말지 결정한 후에 돌리기
14890번: 경사로코드아이디어가로줄 따로 세로줄 따로 확인경사로를 놓을 수 있는 경우 겹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slide 배열 활용
14888번: 연산자 끼워넣기코드아이디어bruteForcearraylist에 집어 넣었다가 나중에 빼지 말고 그냥 depth 조건 맞추면 min,max 업데이트조합
CS공부 18일차. 오늘은 스프링에서 빈이 적용되는 범위인 scope의 종류와 적용 방법에 대해 토비의 스프링 3.1을 읽고 알아보았습니다. 스프링 빈의 스코프는 싱글톤이 디폴트이다.ApplicationContext 마다 Bean Object가 한 개씩만 만들어진다는
CS 공부 17일차. 오늘은 Spring의 중요 개념 중 하나인 DI가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위주로 토비의 스프링 3.1을 읽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Bean Object 사이의 관계를 주입Bean외의 Object나 단순 값을 주입@로 DI하기 위해 필요한 것
CS 공부 16일차. 오늘도 역시 토비의 스프링 3.1을 읽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순수한 오브젝트로 표현되는 빈 생성 정보이름만 다르게 해서 재사용 가능. BeanDefinition에 이름 정보는 포함되지 않지만 나중에 등록될 때 이름을 부여해 줄 수 있다.bea
CS 공부 15일차. 오늘부터는 토비의 스프링 3.1을 읽고 내용을 정리하며 이전 spring 프로젝트를 리팩토링 해보려고 합니다.IoC Conatiner : Spring Application에서는 Bean의 생성, 관계설정, 사용, 제거 등의 작업을 코드 대신 독립된
2805번: 나무 자르기문제 입력 ex)출력 ex)코드아이디어이분탐색나무를 전체 순회하면서 잘라진 양을 구해야 함처음에 정렬 굳이 안해도 됨mid+1이나 mid-1로 하면 더 쉬움
1920번: 수 찾기문제입력 ex)출력 ex)코드아이디어ArrayList.constains ⇒ 시간초과binary search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