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수학 method (Number, Math)

BaeSeong-min·2024년 12월 17일
0

ES6 문법공부

목록 보기
5/22
post-thumbnail

📙ES6 문법공부


📌숫자와 수학

숫자와 수학은 쇼핑몰 , 통계, 지표 등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숫자와 관련된 메서드

💡toString() : 숫자를 문자로 바꾸기

숫자를 문자형으로 바꿔준다. 인자로 숫자를 넘겨주면 해당 숫자의 진법으로 변환한다.

✏️16진수로 색상표현하기

색상을 표현할 때, 16진수를 많이 사용한다. 짧고, 간결하면서 컴퓨터가 읽기에 효율적이기에 웹 개발에서 주로 16진수 색상코드가 쓰인다.

💡toFixed() : 소수점까지 표현한 반올림

소수점 n자리까지 표현된(n+1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문자열을 반환한다. 문자열을 반환하기에, Number() 함수를 이용해 숫자로 변환 후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toFixed() 메서드는 Math 객체의 메서드가 아니라, 숫자(Number) 객체의 메서드이다.

💡isNaN() : NaN인지 판단

NaN(not a number)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NaN은 자기 자신과도 똑같지 않다고 말한다. 따라서, isNaN() 함수만으로 NaN인지 아닌지 아닌지 판단 가능하다.

💡parseInt() :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형변환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준다.

Number() 함수와는 다르게 문자열로 된 값에 문자가 혼용되어 있어도 읽을 수 있는 부분까지는 읽고 숫자로 반환해준다.

parseInt() 함수는 두번째 인수를 받아 문자열 안의 값을 어떤 진수로 해석할지 지정할 수 있다. 아래 코드는 문자열 안에(따옴표 안에) 있는 16진수 값을 10진수 숫자로 변환한 것이다.

💡parseFloat() : 문자열을 실수로 형변환

parseInt()는 소수점 이하는 무시하고 정수만 변환시켜주는 반면에, parseFloat()은 실수로 변환해준다.

✨Math 내장객체의 메서드

💡Math.PI : 원주율

원주율을 구해주는 프로퍼티 PI

💡Math.ceil() : 올림

소수점 이하의 숫자가 있으면 무조건 올림이 일어난다. 주어진 숫자보다 크거나 같으면서 가장 작은 정수이다.

💡Math.floor() : 내림

소수점 이하의 숫자가 있으면 무조건 내림이 일어난다. 주어진 숫자보다 크지 않은 가장 큰 정수이다.

💡Math.round() : 반올림

소수점 이하의 값을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한다. 소수점 이하가 0.5 이상이면 올림이 된다.

✏️반올림 할 때, 소수점까지 표현해야 하는 경우

문제 : 소수점 둘째자리 까지 표현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Math.random() : 0~1 사이의 무작위 숫자 생성

0이상 1미만의 임의의 숫자를 생성한다.

1이상 100이하의 임의의 숫자를 뽑고 싶다면?

💡Math.max() / Math.min() : 최대값, 최소값 구하기

Math.max(), Math.min() 메서드 각각 넘겨준 인자들 중에서 중 최대값, 최소값을 구해준다.

💡Math.abs() : 절대값

절대값(absolute)을 반환한다.

💡Math.pow() : 제곱

제곱(power)한 값을 반환한다. 첫 번째 인자를 두 번째 인자의 거듭제곱으로 계산한 값을 반환한다.

💡Math.sqrt() : 제곱근

넘겨준 인자의 제곱근(square root)을 반환한다. 아래 코드를 보면 루트 16의 결과값은 4라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
성민의 개발 블로그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