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N 설정에 이어 오늘은 Inter VLAN 설정
SW1(config)#int fa0/24 // 24포트애 들어감
SW1(config)#sw m tr // 24포트를 트렁크모드로 설정
SW1(config)#do wr // 저장
Legacy VLAN
스위치 위쪽에 Router하나는 설치
스트레이트 케이블을 통해 R1의 SW1에 g0/0/0
에 SW1fa0/3
연결
스트레이트 케이블을 통해 R1의 SW2에 g0/0/1
에 SW1fa0/11
연결
TIP
스트레이트 케이블을 연결시켜줄때 SW1에는 VLAN10속하는 이더넷 SW2에는 > VLAN 20 에 속하는 이더넷을 연결 시켜 줘야한다.
그후 R1에 IP설정을 해주면 된다.
R1(config)#int g0/0/0
R1(config)#ip address 192.168.1.1 255.255.255.0
R1(config)#no sh
R1(config)#int g0/0/1
R1(config)#ip address 192.168.2.1 255.255.255.0
R1(config)#no sh
R1(config)#do wr // 저장
Router on a Stick
g0/0/0
와 SW1 g0/0/1
에 연결SW1(config)#int g0/0/0
Sw1(config-if)#sw m tr
R1(config)#
R1(config)#int g0/0/0.10 // .10은 802.1Q를 의미
R1(config-subif)#en d 10 // encapsulation dot1Q 10
R1(config-subif)#ip address 192.168.1.1 255.255.255.0 // Default IP 설정
R1(config)#no sh
R1(config)#
R1(config-subif)#int g0/0/0.20
R1(config-subif)#en d 20 // encapsulation dot1Q 20
R1(config-subif)#ip address 192.168.2.1 255.255.255.0 // Default IP 설정
R1(config-subif)#int g0/0/0 // 에 들어가서 no sh을 해줌
R1(config-if)#no sh
R1(config)#
Routertedport
TIP 해당 케이블을 연결 할때는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하여 각 포트에 해당하는 VLAN에 연결 시켜 주어야한다.
MLSW1(config)#ip routing // 스위치가 라우팅을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
MLSW1(config-if)#int fa0/1
MLSW1(config-if)#no sw // 지금 장비는 스위치 장비이기 때문에 라우터로 변경해주기 위해 no sw명령을 사용
MLSW1(config-if)#ip add 192.168.1.1 255.255.255.0 // no sw를 해준후 ip address을 해주어야 정상적으로 명령어가 실해이 된다.
MLSW1(config-if)#no sh
MLSW1(config-if)#int fa0/2
MLSW1(config-if)#no sw
MLSW1(config-if)#ip add 192.168.2.1 255.255.255.0
MLSW1(config-if)#no sh
MLSW1(config-if)#do wr // 저장
MLSW1(config-if)#
SVI
스위치
SW1(config)#int fa0/21
SW1(config-if)sw m tr
멀티레이어스위치
MLSW1(config)#ip routing // 스위치가 라우팅을 할수 있게 해줌
MLSW1(config)#vlan 10
MLSW1(config-vlan)#vlan 20
MLSW1(config-vlan)#int vlan 10
MLSW1(config-if)#ip add 192.168.1.1 255.255.255.0
MLSW1(config-if)#int vlan 20
MLSW1(config-if)#ip add 192.168.2.1 255.255.255.0
MLSW1(conf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