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VLAN 설정

인환·2022년 9월 29일
0

Cisco Packet Tracer

목록 보기
1/2
post-thumbnail

VLAN

  •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

장점

  • 네트워크 리소스 보안을 높인다.
  • 비용을 절감한다.
  • 관리자의 네트워크 설정작업이 용이함.
  •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실습

1.

장치 배치 및 연결

  • 스트레이트 케이블을 PC0 fa0/1과 SW1에 fa0/1에 연결해준다

  • PC1에는 fa0/11과 SW1 fa0/11를 연결해준다.

  • SW2도 똑같이 연결시켜준다.

  • SW1과 SW2는 같은 장비기 때문에 크로스 케이블을 이용해 g0/1에 같이 연결 시켜 준다.

2.

  • SW1에 CLI로 들어간뒤
Switch>en
Switch# conf t
Switch(config)#vlan 10 // vlan 10을 만들어준다.
Switch(config)#name Staff // vlan 10에 이름을 지정.
Switch(config-vlan)#vlan 20 // vlan 20을 만들어준다.
Switch(config-vlan)#name Student // vlan 20에 이름을 지정.
Switch(config-vlan)#do show vlan // vlan 정보를 확인
  • 다음과 같이 vlan 10, vlan 20 이름이 각각 Staff, Student이 각각 만들어 진다.

Switch(config-vlan)#]int r fa0/1 - 10 // 1번 이더넷에서 10번 이더넷까지 묶어줌
Switch(config-if-range)#sw m a // switch mode access로 들어감 
Switch(config-if-range)#sw a vl 10 // switch access vlan 10으로 지정 해줌
Switch(config-vlan)#]int r fa0/11 - 20 // 11번 이더넷에서 20번 이더넷까지 묶어줌
Switch(config-if-range)#sw m a // switch mode access로 들어감 
Switch(config-if-range)#sw a vl 20 // switch access vlan 20으로 지정 해줌
Switch(config-if-range)#do show vlan // vlan 정보 확인

  • 다음과 같이 vlan 10 Staff에 fa0/1 ~ 10, vlan 20 Student 20 fa0/11 ~ 20설정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테스트

  • vlan을 다 설정한 후 PC0에서 Desktop - Terminal 창을 연후 핑을 날리면 다음과 같이 연결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TIP

  • PC0과 PC3은 두개의 PC가 같은 vlan에 속해 있지 않기 때문에 핑을 날리면 오류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SW1에 크로스 케이블을 vlan 10번에 해당하는 fa0/1과 SW2에는 vlan 20에 해당하는 fa0/11를 크로스 케이블을 통해 연결 시켜주면 핑이 가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