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 apply -f two-replicas-with-label.yamlkubectl get pod -l app=evareplicaSet ( east, west ) 확인 위에서 생성한 eva라는 app 중 west pod 에게 한정 Service 연결 후 N
metadata 는 key:value 형태로서 지정을 해주는 것으로서 해당 Pod에 대한 이름 즉, 라벨링을 해주는 작업이다.spec 속성에 내가 팟안에 넣어줄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들을 명시한다.이곳에서는 크게 nginx, redis 로 구성한다.기존에 존재하는 ser
개념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쿠버네티스는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모두 용이하게 해준다. 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쿠버네티스 서비스, 기술 지원 및 도구
M1 같은 경우에 VirtualBox가 지원되지 않아 여분의 컴퓨터를 만들기가 쉽지 않음. 따라서 UTM을 설치해 해당 컴퓨터로 원격접속하는 ssh 방식을 채택ssh 방식을 통해서 도커 swarm을 과정을 수행해보고자함.ip addr 를 명령어를 통해 내 컴퓨터 ip
nestjs 프로젝트 폴더 생성 > nest new npm or yarn 중 하나의 패키지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설치 완료된 화면 볼 수 있다 VSCode에 설치된 폴더 목록들 Moudle 생성 > 모듈(Module) NestJS 애플리케이션은 모듈 단
JiraJira는 Issue management system.지라에서의 이슈는 통상 우리가 사용하는 문제의 개념인 이슈가 아닌, "해야 할 일", "할 일의 목록" 을 의미함. (to-do list)사용자는 항상 자신들의 이슈를 등록하고 업데이트 완료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커 컴포즈에 redis 를 띄우는데 계속 그림과 같은 오류 발생,,기존에는 이미지 빌드 후 단일 컨테이너만 띄어서 docker.host.internal로 처리했는데 도커 컴포즈는 일종의 컨테이너들끼리 합주를 해주는 역할이라redis와 같이 각각의 컨테이너를 띄어서 사
Emoji를 포함한 Unicode를 지원Plain text는 물론이고, HTML content를 사용SMTP 를 포함한 다양한 전송 방식을 지원OAuth2 인증방식을 지원그 외 자세한 정보는 공식 사이트 (https://nodemailer.com/about/)
Dockerfile 작성하기 전체적인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시작점은 Dockerfil로 부터 시작된다. **1) 도커 파일 작성 2)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3) 빌드 된 이미지로 컨테이너 생성** FROM : 기본 베이스 이미지
ref: https://www.acmicpc.net/problem/12865처음에는 물건 대비 가치로 나눠 해당 무게가 얼마만큼의 비율로서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접근하려고 했는데 그렇게 하니 소수점 단위로 나와 출력값이랑 다르게 나왔다.따라서 문제
최단 경로 알고리즘이란 두 노드를 잇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것.가중치가 기재된 그래프 형태에서 Edge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경로를 구하는 것.출발 노드를 기점으로 연결되 있는 정점들을 추가해가며 최단 거리를 계산우선순위 큐 사용시 노드 간의 간선 길이가 가장
다음과 같이 도커 파일을 수정하였다.하지만 ,다음과 같이 파일을 빌드 해주고 3000번 포트로 연결 시도 시, 예전 컨테이너가 실행 중이기에 3000번에 새로운 파일을 꽂지 못하는 것이다!따라서, 예전 도커 컨테이너를 삭제 해줘야 한다. docker ps 로 현재 실행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정점들과 같은 레벨에 있는 형제 노드들을 먼저 탐색 하는 방식한 단계 씩 내려가면서 현재 노드와 같은 레벨에 있는 형제 노드들을 먼저 순회함.출처 : https://www.fun-coding.org/큐를 활용 하기 !크게 두개 활용1) 방문
자기가 개발한 소스코드가 있다면 그것을 사용해도 괜찮음!공식 문서에서 제공하는 소스코드 가져오기ref : https://docs.docker.com/get-started/02_our_app/ 컨테이너를 빌드 하기 위해선 Dockerfile 필요!Dockerfi
Data Link Control Layer Data Link Control **1. 메시지 생성 (프레이밍) ** **2. 에러 검출 및 복구 ( DLC ) 를 수행. - 에러 컨트롤 **데이터링크 계층이 동작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 1) dedicated 2)
첫째로 도커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 명세서 그러니깐 일종의 컨테이너 설계도의 개념이다.이미지 안에는 서비스 운영 프로그램, 소스코드 및 라이브러리, 컴파일 된 실행파일이 들어가 있다.컨테이너는
탐색할 구간을 반으로 나눠서 탐색하는 방식.이진탐색은 굉장히 단순하다.우리가 술게임 시 특정 숫자를 마음에 품고 일정 범위 숫자 내에서 상대가 부르는 숫자를 기준으로 up,down의 정보를 알려주면 점점 범위를 좁혀 가며 숫자를 맞혀가는 방식이랑 동일하다.data는 특
재귀 용법을 사용한 알고리즘.<원리>1) 특정 리스트를 두개로 쪼갠다.2) 쪼개진 각각의 리스트를 합병 정렬을 이용해 정렬시킨다.3) 정렬된 리스트를 다시 합병 시킨다.크게 2가지로 나눠보자.우선 리스트를 쪼개는 기본 원리를 익히기 위해 다음과 같이 medium이
1) Message송신 하는 쪽에서 수신하는 쪽으로 보내는 정보.2) Sender 메시지를 보내는 디바이스 (컴퓨터들)3) ReceiverSender가 보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4) MediumSender가 Receiver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되는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