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넌트는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라우터는 주의해야한다.
라우터는 페이지 기준이기때문에 내가 어느 폴더에서 사용하냐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법
/board — 게시물목록
/boards / new — 등록하기
/boards / : boardId — 상세보기
/board / : boardId / edit — 수정하기
Array.prototype.map() - JavaScript | MDN
arr.map(callback(currentValue[, index[, array]])[, thisArg])
const classmates = {
name : "철수"
name : "영희"
name : "훈이"
}
classmates.map((el) => ({name: `${el.name} 어린이`}))
** map함수는 복사의 개념으로 원본이 바뀌지는 않는다.
- 화살표 함수 안에 기능 하나일 경우 { }, ( ) 생략 가능
const dalaran = () => {
return 100
}
// 똑같이 동작한다.
const dalaran = () => 100
array.map((x) => (x + 1))
array.map((x) => x+1)
const classmates = {
name : "철수"
name : "영희"
name : "훈이"
}
classmates.map((el) => ({name: `${el.name} 어린이`}))
위의 경우 소괄호를 생략하면 객체를 의미하는 { } 가 화살표 함수를 의미하는 { }가 된다. 고로 반드시 ( ) 객체를 감싸줘야 한다.Array.prototype.filter() - JavaScript | MDN
const classmates = {
name : "철수", age: 11
name : "영희", age: 13
name : "훈이", age: 10
}
classmates.filter((el) => (el.age >= 10)).map((el) => (school: "람쥐"))
map 사용할떄는 key를 넣어주어야한다. 이때 key값은 중복이 안되는 고유한 값이어야한다.
: 이는 React가 어떤 항목을 변경, 삭제 등을 할지 식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이는 element에 안정적인 고유성을 주기위함이다.
map을 사용할떄 index 값을 받아올 수 있다. 하지만 이를 key에 넣는건 좋지않다.
: index의 value는 배열의 변동가능한 값이기 때문이다.
: 별도의 key값을 넣지 않을경우 기본적으로 index가 키값으로 들어간다.
: 합산할 데이터들을 모두 연산해서 결과를 리턴, 배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Array.prototype.reduce() - JavaScript | MDN
arr = [2, 3, 4, 5];
// cu : current - 누적된 값
// el : element - 배열의 각각의 요소
arr.reduce((cu, el ) => cu + el)
// 최초 요소를 넣어주면 그 요소부터 누적시작
arr.reduce((cu, el ) => (cu + el), 10)
// 10 + 2, 12 + 3, 15 + 4, 19 + 5
Array.prototype.slice() - JavaScript | MDN
String.prototype.slice() - JavaScript | MDN
: 문자열과 배열에 사용 가능, 배열을 얕게 복사 가능하다. (범위를 자르고 자른값을 복사하는 개념)
arr = [1, 2, 3, 4];
arr.slice(beginIndex, endIndex)
// end 인자가 없을경우 begin부터 배열 끝까지를 자른다.
arr.slice(1) // 결과값 [2, 3, 4]
arr.slice(1,3) // 결과값 [2, 3]
//음수는 끝에서부터
arr.slice(1, -1) // 결과값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