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딥러닝 감수성은 있지만 디퓨전 감수성이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 쓰이는 글컴퓨터 비전 분야의 직관 기반 연구 논문은 잘 읽을 수 있는데, 디퓨전의 경우 이론이 너무 어려워서 어떻게 접근해야할지 모르겠는 사람을 위한 글디퓨전 모델을 가지고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데 f
연구실에서 석준이 진행하는 인턴 트레이닝에 대학원생들도 참여해서 하는 중, Detection & Segmentation 위주로 논문 리뷰 + Detectron2 위주의 과제(?)도 나온다고 한다. 근데 인턴 위주라서 대학원생들은 깍두기 느낌이번 주에 읽을 논문은 총 3
들어가며 Velog에 결산과 계획을 쓰는 건 3년차가 되었다. 2020년 결산 및 2021년 계획 2019년 결산 및 2020년 계획 뭔가 올해 들어서는 유독 SNS에 회고록이 많이 보이는 거 같은데 트렌드가 변한걸까? 아니면 이제 주변 사람들의 나이대가... 앗
Training Pipeline을 이해하고 GPU를 비롯한 서버 자원을 골수까지 뽑아먹는 세미나 소개글, 세미나 진행 후 내용까지 업데이트 예정
작년에는 2019년 결산 및 2020년 계획을 했다. 그런데 노션에서 혼자 쓴 글을 거의 가져온 수준이었고 올해는 Private과 Public을 분리하려고 한다. 여기에 쓰는 것은 Public 버전이다.본격적으로 연구에 집중하기 시작하고 나름대로 성장하고 있는 것 같다
머신 러닝 분야의 탑 티어 컨퍼런스 중 하나인 ICLR 2019의 Best Paper Award를 수상한 The Lottery Ticket Hypothesis: Finding Sparse, Trainable Neural Network와 그 후속 연구를 다룹니다.
들어가며 Visual Studio Code(이하 VSCode)는 Microsoft에서 유지보수하는 오픈소스 편집기이다.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통합 개발 환경(IDE)급의 성능을 낼 수 있는 GUI Editor라는 점에서 Sublime, Atom과 그 정신을 같이한다
Ubuntu Server에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해보자!
나는 학부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활동들이 진로 탐색과 결정에 도움이 되었다. 요즘 내가 무엇을 왜 하고 있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특히 가족...) 말로 간략하게 설명하기가 어려워서 그냥 적고 공유하려고 글을 적어본다. 내가 했던 활동들을 나는 다음처럼 분류
이 글은 MIT 18.06 Linear Algebra 2011 Fall을 랩메이트들과 들으며 꼭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적는 글이다.많은 사람들의 선형대수 스승일 Gilbert Strang은 학부 시절 계산만 해서 몰랐던 혹은 까먹었을 선형대수의 많은 부분들을 알려주고
기존 블로그에서 2020.01.25에 작성된 글나는 아직 학생이니까 방학과 학기 별로 정리해보았다.우선 계절학기로 6학점을 들었다... 철학과 윤리, 인간언어란 무엇인가였는데 올출에 시험도 열심히 쳤는데 C+C+을 받았다. 흑흑... 잘은 모르겠는데 철학과 윤리 교수님
근래에 NAS(Neural Architecture Search)로 주제를 바꾸며 pytorch를 더 자유자재로 구현할 필요성이 생겼다.그런데 공부를 하다가 autograd 관련 예제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실패한 것들이 있어서 정리할겸 이 글을 쓴다.우선 Autograd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