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1년간 거의 매일 진행해온 수학 공부가 결실을 맺고 있는 것 같아 기분이 좋다. 머신러닝 공부를 최근에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수학 때문에 막힌 적은 크게 없는 것 같다 (IQ가 몇 점 부족하여 발생하는 문제는 빈번하다).
2차원 이상의 배열을 사용할때 주의해야 하는 것이 바로 row-major와 column-major이다. 배열의 차원과 관계없이 저장 장치에 정장될 때에는 반드시 1차원으로 저장된다. 그럼 2차원 배열을 어떻게 1차원을 필 수 있을까? row-major는 row 단위로
🐼🐼🐼🐼🐼🐼🐼🐼🐼🐼🐼🐼🐼🐼🐼🐼🐼🐼🐼🐼🐼🐼🐼🐼🐼🐼🐼🐼🐼🐼🐼🐼🐼🐼🐼🐼🐼🐼🐼🐼🐼🐼🐼🐼Tidy data는 데이터가 목적에 맍는 형식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R프로그래밍 장인이자 통계학자인 Hadl
사실 필자는 영어가 더 편하다. 필자의 학습을 위해 작성 중인 블로그인 만큼 한국말이 생각나지 않으면 그냥 영어로 적도록 하겠다. 🐼apply()를 활용하여 df 혹은 Series에 함수를 적용시킬 수 있다. "Dataframe C""Dataframe G"요렇게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