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스트림 인스턴스가 종료되고 다운스트림 인스턴스가 응답을 보낸다면 유실된다.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상류 서비스는 응답을 수신한다.데이터 영구 저장소에 데이터 저장
- 폴링 방식으로 파일 변경 여부 확인
- 데이터 레이크
- 원시 데이터 업로드
- 다운스트림 소비자는 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 데이터 웨어하우스
- 구조화된 데이터 저장소
- 구조가 하위 호환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변경되면 생산자가 업데이트

마이크로서비스는 다운스트림 서비스에 작업 요청을 보내고 결과를 받길 기대
특정 순서로 호출을 완료해야하는 상황에서 일반적

구현: 동기 대 비동기

적용 대상
수신 여부가 보장되지 않는 이벤트 발행
느슨한 결합
이벤트 발행자는 무엇을 할지 결정하는 것을 수신자에게 맡긴다.
구현
이벤트에 포함되는 것
예시

누가 이벤트를 받는지 알 수 없고 알아서도 안 되는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
고객의 식별자만
통지 마이크로서비스는 고객의 이메일을 알아야하므로 고객 마이크로서비스에서 정보를 가져온다.

매우 자세한 이벤트
API를 통해 공유하는 모든 것을 이벤트에 삽입

장점
단점
이벤트 크기에 따라 방식 선택 권장
민감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마이크로서비스 범위를 제한한다면?
적용 대상
요청 및 응답 상호작용을 이벤트 기반의 상호작용으로 바꾸는 팀이 역방향보다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