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객체

박성진·2021년 1월 26일
0

객체

객체는 관련된 데이터와 함수(일반적으로 여러 데이터와 함수로 이루어지는데, 객체 안에 있을 때는 보통 프로퍼티와 메소드라고 부릅니다)의 집합입니다.

  • 객체는 key(키): value(값) 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중괄호를 이용해서 객체를 만듭니다.
  • key: value 은 쉼표로 구분해줍니다.
  • 객체의 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let user = {
    firstName: 'Steve',
    lastName: 'Lee',
    email: 'steve@naver.com',
    city: 'Seoul'
}; 
  • 객체의 값을 사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방법 1. Dot notation

let = user = {
    firstName: 'Steve',
    lastName: 'Lee',
    email: 'steve@naver.com',
    city: 'Seoul'
};

user.firstName; // 'Steve'
user.city; // 'Seoul'

방법 2. Bracket notation

let = user = {
   firstName: 'Steve',
   lastName: 'Lee',
   email: 'steve@naver.com',
   city: 'Seoul'
};

user['firstName']; // 'Steve'
user['city']; // 'Seoul'
  • Dot/Bracket notation을 이용해 값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let tweet = {
    writer: 'stevelee',
    createdAt: '2019-09-10 12:03:33',
    content: '재밌어요'
};

tweet['category'] = '잡담';
tweet.isPublic = true;
tweet.tags =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
  • delete 키워드를 이용해 삭제가 가능합니다.
let tweet = {
    writer: 'stevelee',
    createdAt: '2019-09-10 12:03:33',
    content: '재밌어요'
};

//createAt 키-값 쌍을 지웁니다.
delete tweet.creaetedAt;

// tweet은 다음과 같게 됩니다.
{
    writer: 'stevelee',
    content: '재밌어요'
};
  • in 연산자를 이용해 해당하는 키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t tweet = {
    writer: 'stevelee',
    createdAt: '2019-09-10 12:03:33',
    content: '재밌어요'
};

'content' in tweet; // true
'updatedaAd' in tweet; // fals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