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c를 기여다가 타입스크립트에 대해서 의문이 남아 해당 글을 작성 한다.https://www.typescriptlang.org/ko/play?해당 링크에 가보면 에러가 발생하는 타입스크립크 코드를 볼 수 있다.에러 문구는 Cannot redeclare exp
사이드 프로젝트를 위해서 이런저런 구상을 하는 단계에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어떤 오픈소스를 쓸까 고민을 하고 있었고, 필요한 기능은 바로 에디터였다.마크다운을 지원하면 좋고, 노션처럼 드래그로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 어떨까 싶었다.그래서 이런저런 오픈소스
나는 원래 오픈소스에 관심이 많았고 예전부터 늘 오픈소스에 기여를 해보고 싶었다.기회가 없었던 것 인지, 두려워였던 건지 알 수가 없지만.기여를 해보려고 하면 늘 거대한 프로젝트 (react, nextjs) 같은 것만 떠올랐고해당 프로젝트에서는 내가 기여해 볼 각을 찾
들어가며 현재 회사에서 나는 앵귤러와 ngrx, rxjs 스택을 사용하며 개발중에 있다. 신입 이고 처음 앵귤러를 학습을 하고있었고 드러던중 component store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봐라고 해서 시도를 하게되었다. 문제는 여기부터다.. component s
\*\* 주의 이 글은 개인적인 공부정리 글로써, 최대한 정확한 내용을 전달 하기 위해서 공식 문서 기반으로 작성 하였으나 본의 아니게 주관적인 내용을 함유 할 수도 있음을 고지합니다 \*\*변역한 자료 https://beta.reactjs.org/learn/
es6에서 비동기 처리를 위한 패턴으로 promise 를 도입했다,왜 생겼을까? 그 이유는 전통적인 콜백 패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다.위 와 같은 코드를 살펴보자. 해당 코드를 실행 했을때 log에 res값이 찍힐까?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onload가 비동기 적
개요 프로젝트중 매인피드의 스크롤 관련 훅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해당 코드는 useScroll이라는 커스텀 훅이다 해당 코드는 mainFeed Page에서 발췌했다. mainFeed 페이지에서 useScroll훅을 내부에서 사용하는 useScrollDown 훅을 사용한다. 현재 mainFeed 페이지에서는 firstLoading 상태값에 따라서, ...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들 js에서는 크게 3가지로 객채를 분리할 수 있다. 표준 빌트인 객체: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된 객체를 말한다.ECMAScript에 정의된 객체 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브라우저, nodejs) 등에 관계없이 사용 할 수 있다.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써 제공된다. 호스트 객체: ECMAScript에는 정의가 안되어...
This는 자기자신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이다 >바인딩이란 식별자와 값을 연결하는것, 그럼 this 바인딩은 this 라는 식별자 와 this가 가리킬 객체를 연결하는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this라는 변수명에 this가 가르킬 메모
👍🏻 어제보다 성장한것 (FeedBack) drag이벤트를 알게된것 네트워크 통신,웹워커 등 통신할 때 최적화를 고민해 본것 🎈오늘 배운점 (Fact) 네트워크 통신 requestIdleCallback 브라우저가 idle 상태 일 때 호출할 함수를 대기열에 넣을 수 있는 매서드 즉 ui나 중요한 애니메이션 작업이 끝난 이후 진행 할 함수들을 ...
들어가며 데브코스 프론트엔드과정에 어느덧 한달차 노션클론 프로젝트에 들어갔다. 시작은 창대 했다. 마크다운 에디터 + 템플릿을 쓸수있는 사이트를 만들자 라는 생각아래에 시작한 프로젝트. 문제는 정말 빨리 찾아왔다. 바로 마크다운을 하는부분, contentEdit
fetch 사용법 공부blob은 이미지를 가져올때 가능은하다 잘은 안씀http에러가 발생해도 reject가 안된다.네트워크에러나 요청이 완료가 안될때 reject가 된다.http에러를 확인하기 위해서 respons status code를 확인하고 해야한다컴포넌트의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