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RRR을 설명하기 전 마케팅 용어에 전환(conversion)과 퍼널(funnel)을 알아야 AARRR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이해할 수 있다.전환(Conversion)고객이 마케팅에 반응해 마케터가 의도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케팅의 목적이 되는 모든
PM은 개발, 디자인 뿐만아니라 경영, 마케팅까지도 알아야하는 엄청난 직무이다. 그래서 오늘은 PM이 알아야 할 경영지표들 OKR, KPI, OMTM을 알아봤다.
[프로그래머스 Lv.0] A로 B 만들기, k의 개수, 이진수 더하기, 종이 자르기
숨어있는 숫자의 덧셈 (2) 나의 답 > 한 자리 숫자는 괜찮았는데 두 자리는 어떻게해야할지 감이 안와서 다른 분 코드를 보았다. for문 안에 while문으로 뒤에도 숫자면 이어 붙이고 밖으로 나와서 더해주는 방식.. ㅇ0ㅇ Number.isNaN 이라는 표현도 알
PMF는 Product-Market Fit의 약자로 제품과 시장이 부합한 상태를 의미 한다. 앞서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글을 썼는데 MVP와 PMF는 스타트업에서 많이 사용되며 MVP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라면 PMF는
MVP는 애자일과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로 Minimum Viable Product: MVP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을 의미한다. 최소 기능이란 고객이 꼭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의미하고 MVP를 통해 고객에게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제공함과 동시
애자일 프로세스는 민첩한 기민한이라는 뜻으로 짧은 주기의 업무 사이클을 반복하여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애자일 프레임워크에는 대표적으로 스크럼, 칸반이 있다. 스크럼 Scrum 스크럼은 미식축구에서 나오는 용어로 한 팀의 선수들이 서로 팔을 건 상태에서 상대 팀을 밀치는 대형을 의미한다. 스크럼은 작은 주기(sprint)로 개...
직사각형 넓이 구하기 나의 답 > 수도코드 생각하면 쉬워짐 ... 나머지 매개변수 쓰면 배열에서 벗겨지남? 캐릭터의 좌표 나의 답 > board를 2로 나누는 것 까지 괜찮았으나 x, y에 할당해서 - 붙여서 연산해야겠다는 생각을 못했다. 매번 한, 두 줄로 끝내는 코드만 짜니까 변수가 많아지면 못 푸는 것같으니 익숙해지기 최댓값 만들기 (2) 나의...
프로젝트 개발에 적합한 방법론을 무엇일까? 다양한 방법론이 있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waterfall, agile, lean의 장단점 및 언제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특징) 알아봤다.
PRD란 Product Requirement Document로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이다. PRD란 신규 개발 및 기능 개선이 필요한 Product의 요구사항을 정리한 문서로 제품에 반영되길 원하는 요구 사항들이 담겨있다.무엇을 만들고자 하는지누구를 위한 것인지엔드 유저
WBS란 Word Breakdown Structure로 프로젝트 작업할 때, 업무를 카테고리화하여 구분하고 각각의 카테고리는 더 세부적인 작업으로 나누어 일정 및 진행사항을 체크하는 기법이다. 간략하게 표현하면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 수립 및 관리 문서라고 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는 형 변환 가능한 global method 들이 있는데 코딩테스트 보는 데서도 type에 따라 쓸 수 있는 내장 객체가 다르고 실무에서도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type이 중요하다.
앱/웹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를 들어가기 앞서 기획의 과정을 정리해보았다.문제인식 -> 정보수집 -> 분석 -> 설득과 계획 -> 문서화서비스 기획 역시 위 기획 과정 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를 비슷하지만 다 다르게 적어놔서 종류 별로
서비스 기획자/ PM이 되려고 Business X IT 일을 하다가 UX 전공으로 대학원을 갔다. 다니면서 느낀 점은 UX 대학원은 회사 다니면서 병행하다가 이직하는 것이 가장 좋지 않을까 싶다. 근데 또 병행하면 하나에 제대로 집중하기 어려워 대학원만 다닌 것이 공부
filter를 두 번썼는데 array 배열에 join하면 문자열로 바꿔준다. doesn't need a filter. join하고 split한 뒤(다시 배열) filter로 ==- 7 과 일치하는 것을 배열로 뽑아 length를 구하면 7의 개수나는 my_str.len
나는 includes를 썼지만 다양한 풀이가 있었다.1\. str1.split(str2).length > 1 ? 1 : 2 2\. str1.indexOf(str2) === -1 ? 2 : 1 3\. str1.search(str2) !== -1 ? 1 : 24\. str
Lv.0 풀면서 입문이여도 어려운 문제 많다고 생각했는데 오랜만에 엄청 쉬운 문제나는 sort해서 가장 맨 앞의 배열을 찾았다. 하지만 수학 max 이용해서 바로 반환 가능. '+' 기호를 계속 이 형태로 나타내줘야한다는 생각을 계속해서 문제를 풀지 못함. +/- 나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