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더블클릭, 할인율 더블클릭 -> 자동으로 분산형 차트를 제공
고객명을 마크(세부정보)에 drag
평균 할인율이 높아질수록 수익이 낮아지고 있음을 선형 추세선으로 간단하게 확인 할 수 있다.
해당 고객이 수익에 왜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자
해당 고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하나의 극한값을 지운다면 수입의 위치가 어디로 바뀔지도 표시해준다.
고객 세그먼트, 주문일자 별 매출
매출 증가에 비례하여 수입이 증가하였는가 확인
막대 두 개가 겹쳐져 잘 안보이기 때문에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수익을 라인 차트로 변경
합계(매출) 레이블 생성 후 가운데 위치, M단위로 변경
합계(수익) 레이블 생성 및 글꼴 변경, M단위로 변경, 최소/최소만 출력
수익이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크기를 크게 한다.
ctrl + 수익 크기로 drag
-> 소비자 같은 경우 매년 매출이 증가하면서 수익이 증가하는 반면, 홈 오피스는 매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2017년 수익이 오히려 떨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trl(command) + 합계(매출)을 옆으로 drag
두 데이터의 축 범위가 달라 라인이 제대로 싱크되어보이지 않는다.
3.매출 행에 이동
(시간적 흐름에 따른 매출의 추세이기 때문에 태블로에서 라인 차트로 나타낸다)
매출을 마크(크기)에 drag 하면 매출 규모에 따라 선 굵기가 표시된다
ctrl(command) + 합계 레이블로 drag
라인차트와 영역차트의 차이를 잘 보기 위해 색상을 변경해준다
라인차트가 영역차트보다 더 앞에서 표현될 수 있도록 하자
실무에선 파이차트보다 도넛차트를 더 선호한다
ctrl(command) + 열에 위치한 합계(0) 옆으로 drag
중간에 전체 매출 표현하기 위해 합계(0)(2)에 있는 항목 합계(매출) 제외하고 모두 제거
도넛차트, 파이차트 비교를 위한 텍스트 생성
행에 "VS" 작성
전체 보기
이 작업을 하는 이유는 동작 옵션 중 모든 작업을 제외할 경우 원본 시트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차원값을 포함하고 있어야 시트간 인터렉션이 생기기 때문
vs
시트 drag차트비교 시트가 나타났다 사라지게 만들기
vs 부분을 선택하면 파이차트가 나타났다 사라졌다 반복한다
도넛 차트의 세그먼트를 클릭하면 라인영역 차트가 세그먼트 별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넛 차트 세그먼트 영역을 클릭하면 동작2 작업으로 라인영역이 동작되고
하이라이트를 클릭하면 이중축 응용 차트와 콤비네이션 차트의 해당 세그먼트 데이터가 하이라이트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