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에서는 iCloud 구독자에 대하여 비공개 릴레이 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기능은 iCloud에 로그인된 맥 혹은 패드, 폰에서 Safari를 사용하여 웹을 탐색할때 적용되는 기능으로 DNS/IP주소 등을 가려주는 기능이다. 아래는 Apple의 홈페이지에서
지난 글에서 dynamic DNS를 활용하여 외부에서도 domain name을 통해 접속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었다. 이제 외부에서 단순히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Gnome desktop 환경으로도 접속할 수 있도록 RDP 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물론 Linu
Rocky Linux를 처음 설치하면 서버의 hostname이 localhost.localdomain 의 재미없는 이름으로 되어 있다. 이 기본값은 여러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제 다시 접속해 보자호스트명이 재 로그인
개발환경 구성을 위해 Linux 서버를 구축하기로 했다면, 다양한 Linux의 배포판에 대해 파악하고, 선택이 필요하다. 우선 Linux는 Linus Torvalds 가 개발한 OS(Operating System, 운영체제)으로 컴퓨터가 동작하기 위한 운영체제이다.
개발장비에 OS는 설치한 이후 바로 진행해야 할 것은, 언제 어디서나 외부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이다. 일반적인 가정이나 작은 사무실에서는 인터넷 1 회선에 공유기를 사용하여 내부 장비들을 사설 IP로 연결하고, NAT를 통해 외부 인터넷을 연결하여 사
예전에는 학교나 회사에서 다양한 서버를 제공해주고, 그것을 기반으로 개발/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당연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AWS, 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세가 된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접 개발/운영하는 장비는 하나 있어야 시작부터 끝까지 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