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의 내용 정리

👇킥오프 내용 정리

LMS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관리, 제공, 추적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교육기관, 기업, 개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학습 과정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게 합니다. LMS는 교육자(어드민/관리자, 교수자)와 학습자(사용자/수강생) 각각의 필요에 맞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강의/콘텐츠 접근: 온라인 강의, 영상, 자료, 과제, 퀴즈, 테스트 등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손쉽게 수강할 수 있습니다.
진도 및 성취 관리: 개인별 학습 진도, 완료 여부, 점수, 배지(게임화된 요소)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멀티디바이스 지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로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
맞춤형 학습경로: AI 기반 추천 시스템을 통한 개인별 학습과정 안내 및 큐레이션
커뮤니티/소셜 기능: 토론 게시판, Q&A, 동료 평가, 그룹 과제 등 학습자 간 협업과 소통 기능
즉각적인 피드백: 자동 채점, 즉시 결과 확인, 설명 제공
접근성: 자료 검색, 이전 학습 기록 열람 등 편의성 기능
강의 설계 및 운영: 강좌 개설, 콘텐츠 업로드, 수업 일정 관리, 과제/평가/퀴즈 출제 기능
학습자 관리: 등록 승인, 학습 현황·진도·점수 확인, 학습자 그룹 관리
상호작용 및 커뮤니케이션: 공지사항, 메일, 실시간 채팅, 설문 조사, 피드백 제공
보고서 및 분석: 학습 성과 데이터 분석, 결과 리포트 다운로드, 개별·집단별 통계
권한·접근제어: 역할별(관리자·교수·조교·학습자) 권한세분화, 접근 권한 관리
시스템 커스터마이즈: 디자인, 프로세스, 평가 방식 개발 등 맞춤 설정 가능
통합 기능: 출결 관리, 외부 시스템 연동(예: HR, 학생정보시스템, 인증 등)
A/B 테스트는 서비스의 두 가지(혹은 그 이상) 버전을 무작위로 사용자 집단에 제공하여 어떤 버전이 더 높은 성과(전환율, 학습 효과 등)를 보이는지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1) 학습자(사용자) 관점
서로 다른 강의 UI/UX, 배너 디자인, 피드백 메시지, 수료 인증 방식 등의 실험 버전을 랜덤하게 경험
실험 결과에 따라 “더 효과적인 학습법/경로”를 자연스럽게 경험하며, 직관적이고 빠른 피드백을 체감
본인에게 맞는 맞춤형 콘텐츠 추천 로직 개선의 수혜
2) 어드민(관리자) 관점
실험 설계: 예) “모바일 알림이 참여율에 미치는 영향”, “배지 보상 추가가 수강 완료율에 미치는 영향” 등의 명확한 가설과 평가지표(전환율, 참여 시간, 학습 완료 등) 설정
실험 집단/대조군 분할, 결과 측정 및 통계적 분석(전환율 차이, 점수 향상 등)
실험 결과에 기반한 콘텐츠/기능/UX/UI의 실질적 개선 및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반복적 실험과 개선을 통한 점진적 성능/학습효과 최적화
러닝스푼즈 LMS 서비스 전반을 이해한뒤, 기존 LMS의 사용자 UI/UX를 분석하거나 내부 사용자 대상 인터뷰를 통해 어드민 사이드를 분석해서 문제점을 초기 리스트업한다.
➡️ Admin이 방향성이 명확하고, 짧은 시간 안에 해결 방안에 집중하면 되므로 Admin 사이드 개선 선호!
➡️ 다만, 우려되는 점은 A/B 테스트를 해보지 못한다는 것에 대한 아쉬움, 실제 사용자 테스트를 기반으로 가설 및 검증 프로세스를 경험해보지 못한다는 것에 대한 아쉬움 존재
➡️ 28일 대면 회의와 멘토님 유저 사이드 미팅 회의를 통해 초기 문제 리스트업 할 예정
실제 러닝스푼즈 LMS를 개선해볼 수 있다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장점이다. 그동안의 프로젝트에서는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해내는 것에 집중했다면, 이번 프로젝트는 기존의 것을 잘 분석해서 개선점을 잘 찾아내야 한다.
기획 과정에서 여러 번의 회의를 통해 초기 문제점을 리스트업할 뿐만 아니라, 여러 번, 여러 시각에서 해당 문제점이 진짜 문제라서 개선해야 하는지, 문제를 위한 문제인지 모두의 머리를 맞대어 생각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할 것 같다. 그래서 다음주 회의는 두 번 진행하려고 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주차 회고록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

*본 후기는 [웅진씽크빅X스코프랩스] AI를 활용한 DT 기획자 과정(Blog) 리뷰로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