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하게 발전해 오고 있는 AI 도구의 사용 및 활용 방법을 터득하여, 이를 설계 및 기획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는 활동을 통해 기획 능력을 향상시킨다.
노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일차별 필기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기업 프로젝트 소개(UI/UX 개선, 학습진단평가 개선 등의 주제 내포)
생성형 AI 역사 및 기초 개념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Tip 5가지! ⭐
- 역할을 설정해서 질문하기
- 결과물을 명확히 요청하기
- 답변의 방식을 지정하기
-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 정보를 구분해주기
GPT 즉, 생성형 AI는 언제 사용해야 할까?
➡️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을 조금 더 간결하고 명확하게 사용하고 싶을 때
➡️ 반복적인 업무를 줄이고 싶을 때
➡️ GPT에 의존하면 안된다!
나만의 기획서 만드는 STEP!
- 주제 선정하기
- 자료 조사하기
- 조사한 내용 분석하기
- Perplexity
- 문제 정의 + 기획 목표 세우기
- 타깃 분석 (페르소나 만들기)
- 아이디어 + 실행 전략 만들기
- 기획안 정리하기
- 정리된 기획 보고서를 기반으로 발표 자료 만들기
- Gamma, 미리캔버스, Genspark, Nepkin
기타 생성형 AI 종류
이미지 생성형 AI
ImageFX: https://labs.google/fx/ko/tools/image-fx
Playground
영상 생성형 AI
hailuo: https://hailuoai.video/
Runway
노래 생성형 AI
Suno: https://suno.com/
영상 편집 AI
ClipchHamp: https://clipchamp.com/en/
이미지 생성을 위한 프롬포트 엔지니어링 기본 원칙
- “영어를 활용해 주제어, 스타일, 디테일, 화풍 등 구체적인 요구사항 나열하기”
- Template: [Art form] of [subject] by [artist(s)], [detail 1], ... [detail n]
Step1. 이미지의 주제, 컨셉 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Step2. 영어 프롬프트 생성기 활용하기
구글 스프레드 시트나 구글 독스와 연동해서 GPT 사용하는 방법
➡️ GPT for Work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GPT API를 엑셀에 연결하여 간단한 함수를 사용해서 GPT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GPT for Sheets 주요 함수 요약
| 함수 (Function) | 주요 기능 | 사용 예시 | 
|---|---|---|
| =GPT(prompt) | 주어진 질문이나 명령어에 대한 텍스트 답변 생성 | =GPT("대한민국의 수도는?") | 
| =GPT_FILL(range) | 기존 데이터 패턴을 학습하여 빈 셀을 자동으로 채우기 | =GPT_FILL(A2:B10) | 
| =GPT_TAG(text, tags) | 텍스트를 주어진 태그나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 | =GPT_TAG(A2, "긍정, 부정") | 
| =GPT_SUMMARIZE(text) | 긴 글이나 기사를 몇 개의 문장으로 요약 | =GPT_SUMMARIZE(A2) | 
| =GPT_TRANSLATE(text, language) |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번역 | =GPT_TRANSLATE(A2, "English") | 
| =GPT_EXTRACT(text, what_to_extract) | 텍스트에서 이메일, 전화번호 등 특정 정보만 추출 | =GPT_EXTRACT(A2, "이메일 주소") | 
🔥실습1. 타이타닉 생존자 분석
🔥실습2. 부산 지하철 승하차 데이터 분석
프롬포트 예시: 요일별이랑 시간대 별로 평균 승차 이용자수에 대한 히트맵을 그려줘. 시각화를 인터렉티브 HTML로 저장해줘. 시각화 결과에 대해서도 설명해줘.
🔥실습3. 크롤링
GPTS로 나만의 GPT 만들기 (유료 버전만 가능)
Make로 자동화 만들기
🔥실습1. 오늘 일몰, 일출 시간 자동화
🔥실습2. 기사 요약 자동화
5일차는 2개의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하단에 자세히 작성)
- 요구사항: 앞서 배운 '나만의 기획서 만드는 STEP!'을 참고하여 나만의 기획보고서 생성하고 PPT 자료 생성하기
- 제목: GitHub 신입 개발자 온보딩 AI 트레이너
- 내용: 팀 맞춤형 AI 코드 리뷰 시스템으로 신입 개발자의 성장을 돕는 새로운 GitHub 기능 제안
- 사용기술: Gemini, Gamma
- 요구사항: 그동안 배운 생성형 AI 서비스를 총동원해서 SNS에 활용 가능한 나만의 광고 모션 콘텐츠를 생성 및 고도화
- 주제: 유아를 위한 편안한 옷 광고
- 요약: 편안한 옷을 입고 있는 아이를 3개의 장면에 담아내고, 마지막에 전체 옷을 보여주면서 옷을 한번 더 각인시킨다.
- 사용기술: Gemini, ImageFX, Hailuo, Clipchamp
- 요구사항: 특정 뉴스 링크를 텍스트로 읽어(파싱하여) 기사를 요약하는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 전체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심 뉴스 링크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구글 시트에 뉴스 내용을 요약해줍니다. (단,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프롬포트은 아래와 같이 자유롭게 생성이 가능합니다.
1~4일차까지 배운 내용을 토대로 두 가지의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요구사항: 뉴스 기사 리포팅을 메일 형식으로 작성
- 제목: 데일리 뉴스 리포팅 자동화 생성
- 요약: 이메일 형식으로 뉴스 기사를 요약해줍니다.
Make로 데일리 리포트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구축한 뒤 Gamma로 ppt를 제작하였습니다.- 사용기술: Gemini, Make, Gamma
- 요구사항: 생성형 AI를 사용해 회사 홍보 영상 제작
- 제목: XR 회사 소개
- 설명: 학생들과의 단절로 절망하던 역사 교사가 XR 앱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하는 생생한 체험 교육을 선사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잠자던 흥미를 깨우고 마침내 차가웠던 교실에 따뜻한 소통과 감동을 되찾아줍니다. 즉, 교육 분야에 XR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한 모습을 통해 XR 회사의 가치를 높입니다.
- 수행 방식: Gemini를 사용해 이미지, 비디오 프롬포트 시나리오 작성을 완성합니다.
작성한 사진 생성 관련 프롬포트를 사용하여 ImageFX로 각 Scene별 이미지를 만듭니다.
그 후 작성한 비디오 생성 관련 프롬포트와 ImageFX로 만든 이미지를 사용하여 Hailuo로 각 Scene별 비디오를 최종 완성합니다.
만든 영상을 Clipchamp로 합칩니다.
- 사용기술: Gemini, ImageFX, Hailuo, Clipchamp
- Scene 시나리오 작성
Scene 1: 학생들이 역사 수업에 집중하지 않아 절망하는 선생님이 보여진다.
Scene 2: 테블릿에서 광개토대왕 전투가 AR로 보여진다.
Scene 3: VR을 쓴 학생이 세종대왕 집현전을 둘러본다.
Scene 4: XR을 사용한 후 선생님과 학생들이 활기찬 분위기에서 수업을 진행한다.
Scene 5: 'XR APP' 로고가 가운데 등장하며, 선생님이 그 로고를 클릭하면서 마무리된다.
- 이미지, 비디오 프롬포트 작성
Ex. 아래와 같이 원하는 특정 Scene을 완성하기 위해 이미지, 비디오 프롬포트를 각각 요청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일주일의 수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생성형 AI를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내가 원하는 의도대로 직접 응용해본 점이 가장 좋았다.
ChatGPT나 Gemini 같은 텍스트 기반의 생성형 AI는 평소에 코드를 짤 때 많이 사용해봤지만, ImageFX나 Hailuo 같은 이미지 및 동영상 생성형 AI는 처음 사용해봐서 신기하고 유용했다.
Perplexity는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전문가 포럼 및 논문을 검색할 때 사용할 예정이다.
PPT나 발표자료를 생성할 때 넵킨과 감마를 사용할 예정이다. 
엑셀과 데이터분석의 경우, 기존 이 분야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어야 좀 더 유용하게 생성형 AI를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있다. 예를 들어, 엑셀 기초 문법조차 모른다면 생성형 AI의 응답이 올바른 것인지 스스로 판단을 할 수 없고, 잘못된 응답을 사용해 엑셀 작업을 진행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생성형 AI는 반복적인 업무와 단순한 암기 작업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로 쓰는 것이 적합하겠다. 할루시네이션 같은 현상도 조심해야겠고, 연도별로 제공하는 정보가 다를 수 있으니 이 또한 조심해야겠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주차 회고록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

*본 후기는 [웅진씽크빅X스코프랩스] AI를 활용한 DT 기획자 과정(Blog) 리뷰로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