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3 Today I Learned -2

boks·2024년 8월 13일
0

자연어 처리

목록 보기
13/14
post-thumbnail

📖 학습한 내용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핵심내용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대상
    LLaMA-1/2, GPT-3.5/4 대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출처 논문

    https://arxiv.org/abs/2312.16171

  • 성과
    퀄리티 57.7%, 정확도 36.4% 증가

  • 본론만 말하기
    미사여구를 절대 쓰지말기
    예의를 갖추지 말고 본론만 말하기

  • 청중 설정
    의도한 청중을 설정하고 질문

  • 세분화
    복잡한 작업을 간단한 프롬프트로 세분화

    -> 쪼개진 단위로 출력

  • 긍정 지시문
    부정문을 쓰지 말고 긍정문을 쓴다
    사람에게 코끼리 생각하지 말라하면, 생각나는 것처럼 부정어를 쓰지말 것.
    애초에 원치않는 대상이 포함되었다면, 언급 자체를 하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된다.
    어떤 것을 없애고 싶다면, 그 대상을 없애달라고 하지말고 언급 자체를 피하면서 나오지 않게 유도하는 것이 좋다.

  • 어린이 청자로 설정
    2살 어린아이에게 설명하듯이 구문 추가

  • 팁 설정
    더 나은 답변을 하면 몇달라의 팁을 줄게 추가

  • few shot promptingg
    예제 중심 프롬프트 구현

  • 지시 예시 질문 설정

    -> html을 훈련했기에, 제목을 나타내는 마크다운 설정을 어느정도 알아듣는다.
    -> ```예시문장``` 도 알아듣는다.

  • 임무 설정
    "당신의 임무는", "당신은 반드시" "무조건" 따위의 표현 포함

  • 협박하기
    "당신은 불이익을 받을 것입니다." 포함

  • 인간적인 방식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방식으로 주어진 질문에 답해" 포함

    -> 인간에게 더 알아듣게 쉽게 말을 하려해서인지 나온다.

  • 단계별로 생각
    "단계별로 생각해" 포함

  • 편견제거
    "당신의 대답이 편견이 없고 고정관념에 의존하는 것을 피하도록 하세요" 포함

  • 질문 시키기
    정보가 출분할 떄까지 질문을 하라고 시킨다

    -> 필요한 정보들을 오히려 AI가 물어본다
    -> 이것을 대답하면서 점점 더 정확한 답변이 만들어진다.

  • 테스트 추가
    지식 뒤에 테스트 추가요청

    -> 질문이 포함된 테스트를 나에게 내고, 그것이 맞는지 틀린지 평가 후 답변을 알려주기
    -> 사람이 알려주면서 공부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가 적용된다.

  • 역할 부여
    역할을 부여하고 대화하기

    -> 여기선 경제학 전문가라는 역할을 준다
    -> if 나 너는 무엇이다. 라는 형식으로 작성

  • 구분기호 사용
    '구분기호' 사용하기

    -> 강조하는 구분기호를 추가하여 중요도를 인식하게 한다.

  • 반복하기
    특정 단어 반복하여 사용하기

    -> 답변을 받고 싶은 문장의 중점이 되는 단어를 많이 쓰기

  • CoT + 예시
    Chain-od-thought(CoT)와 few-Shot prompts 결합

    -> few-Shot :shot은 예시므로 몇몇개의 예시
    -> CoT : 스텝바이 스텝으로 각각의 단계를 쓰는것
    -> 구글 제미나이에서 비교지표로 이것이 쓰인다.

  • 출력문구 지정
    설명: <- 이와같이 출력문구를 생성한다

    -> 만약에 반박하는 문구를 출력원하면 반박: 으로 적을 수 있다.

  • 필요한 모든 정보 추가
    필요한 모든 정보를 추가하라고 한다.

  • 텍스트 개선
    텍스트를 개선해달라고 한다.

-> 원래의 내가 사용한 방법을 기준으로 돌리기 때문에 더 잘 나온다

  • 여러개의 파일
    여러 파일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스크립트 요청

  • 제시어 기반 글
    특정 단어 구 문장을 사용하여 텍스트 생성

    -> 소설같은 것의 앞부분을 제시해주면 더 잘 생성한다

  • 키워드 제시
    특정 키워드 포함 텍스트 생성

    -> 키워드가 포함된 텍스트를 만들때 제시해준다

  • 동일 언어 사용
    동일한 언어 사용으로 비슷한 느낌의 글 생성

    -> 에세이나 소설 적을때, 노래개사 따위에 유용하다.

profile
설계엔지니어의 변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