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C -> CLP,CMP
CLP -> Dentritic Cell, T Helper Cell, T Cytotoxic Cell, B Cell
CMP -> APC(monocyte->DC/MØ), granulocyte(neutrophil, eosinophil, basophil), Mast cell, RBC, Megakaryocyte
염증성 분자 (사이토카인, 히스타민 등)에 반응하여 감염부위로 이동, phagocytosis, 사이토카인 분비
기생충 감염 방어, 히스타민 분비
기생충 감염 방어, 히스타민 분비 -> 알러지의 원인, phagosytosis ✘
조직으로 이동 후 분화, 히스타민 분비
포식작용을 통해 MHC에서 항원 peptide를 제시
병원체에 반응해 사이토카인 분비
T helper Cell 활성화
감염 조직으로 이동해 MØ로 분화
phagocytosis
항체 인식 (opsonization) 포식
항원 포획 후 림프 기관으로 이동해 T cell에 항원 제시
CD 발현
BM에서 생산(자가반응성 검사central tolerance, IgM)
-> 비장으로 이동해서 성숙 단계 (T1, T2:IgD)
성숙이 완료되면 lymph node로 이동(GC에서 선별)
-> 항원(FDC에 의해 제시)과 반응 ->
pre B cell: BCR(mIg) -> 포식 작용 후 APC 역할 (MHC)
T helper cell에 의해 plasma cell로 분화 -> 항체(sIg) 생산
BM에서 생산
thymus에서 성숙: 음성선택, 양성선택 -> death by neglect
-> TH cell, TC cell로 분화
TCR 발현, MHC(I형은 대부분 세포 세포막, II형은 APC에서 발현)에서 제시한 peptide 인지
T Helper Cell:CD4, T cytotoxic Cell(CTL):CD8
naïve T cell: TCR 이용해서 APC 표면 검색 -> Ag-MHC와 결합한 후 CTL로 분화
CLP로부터 분화, 항원특이성 수용체 없음
ILC1(NK cell), ILC2, ILC3로 나누어짐
I형 MHC 분자 발현 저하 및 자가 MHC 발현 실패 세포 인지 -> 공격
Fc 수용체를 이용해 ADCC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