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도 알아두면 좋은 디자인 프로세스

Boramen·2024년 1월 28일
0
post-thumbnail

개발자도 알아두면 좋은 디자인 프로세스

회사에서 최근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을 겪으며 개발자 입장에서 경험하며 느꼈던 점과 디자인프로세스, UI, UX의 차이 그리고 왜 개발자가 해당 과정을 같이 수행하면 좋은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디자인 스퀴글 예시 이미지
the design squiggle domien newmen

디자인 프로세스란?

 디자인 프로세스란 디자인 제작의 과정을 말한다. 즉, 이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출발점에서부터 완성된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기까지의 모든 활동단계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일반 기업에서 서비스와 제품을 계획하고 창조하는 과정 자체를 디자인하는 것을 포함한 넓은 의미를 뜻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할때도 프로세스와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개발론이 존재하듯 디자인에도 여러 방법론이 존재한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프로덕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당면하는 수많은 문제점을 찾고, 사용자 친화적으로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디자인 방법론마다 성격이 매우 상이하기 때문에 제일 좋은 디자인 방법론이라던가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만능 방법론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젝트에 맞춰, 우리가 어떠한 팀 소속인지, 프로젝트의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에 따라 맞는 방법론을 적용하면 된다.

아래는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을 리서치하면서 참고했던 블로그 게시글 사이트이다.
   🧷 세상은 넓고 디자인 프로세스도 많다
   🧷 다양한 '디자인 프로세프' 살펴보기

디자인 스퀴글

디자인 스퀴글 예시 이미지

_the design squiggle domien newmen_

  디자인 프로레스의 예시 중 디자인 스퀴글은 마구잡이로 엉켜져 있는 많은 아이디어와 생각들이 디자인 컨셉 혹은 프로토타입의 과정을 거쳐 솔루션을 찾아간다는 과정의 방법론이다.

  디자인 단계과정들이 체계적으로 구성이되어 있다는 것보다 디자인 프로세스가 해결되는 과정을 설명했다는것이 더 알맞다.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_Design Council’s Double Diamond, img source_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는 크게 발견, 정의, 개발, 전달의 4가지로 단계가 구성되어 있으며, 발견,개발 단계는 발산사고, 정의, 전달 단계는 수렴 사고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단계들이 절대적인 단계가 아니므로 각 단계에서 필요시 전 단계로 돌아가거나 처음 부터의 시작도 가능한 유동적인 구조이다.

디자인 씽킹

디자인 씽킹프로세스

_사진 디스쿨_

  디자인씽킹은 1990년대 세계적인 디자인 기업 아이디오(IDEO)가 대중화하였으며, 디자이너의 아이디어와 방법론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려러 분야의 팀들이 협업하여 사용자의 요구와 기술적 가능성, 경제적 실현성을 조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이다.

  사진과 같이 총 5개의 프로세스로 정의된다.

사용자 경험의 이해에 대하여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을 통해 UI/UX를 설계하여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알겠는데 그렇다면 왜? 개발자가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해해야 할까? 보통 UI/UX라고 하면 많은 경우가 어떠한 색상을 사용하지? 어떤 버튼 스타일을 사용하지?와 같은 UI의 역할에 집중해서 이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개발자는 이때 UX의 측면에서의 이해가 필요하다. UX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때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겪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중에 분석이 존재 하듯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시 어떠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현하는 경우와 아닌 경우에는 서비스의 완성도 차이가 많이 날 수밖에 없다.

이제 아래에서 UI/UX의 개념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이해해보자.

UI/UX란?

UI/UX란

  UI와 UX는 공통적으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분야지만, 개념과 역할이 조금씩 다르다.

UI(User Interface)정의와 특징

  UI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화면, 버튼, 아이콘 등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자인하는 것을 뜻한다. UI 디자인은 제품의 시각적인 요소를 디자인 하며,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필요한 기능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역할

UX(User Experience) 정의와 특징

  UX는 사용자가 제품, 서비스, 시스템 등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 태도, 행동 등이 포함되는데, 즉 , UX 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어떤 문제를 겪는지 파악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

🧷   참고사이트 : 코드스테이츠 UI/UX디자인이란?

왜 디자인 프로세스가 필요한건지?

 그러면 우리는 왜 디자인 프로세스가 필요했을까? 최근 회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디자인 프로세스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개발팀 이외의 사내 이해관계자들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수렴했기 떄문이다.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사내 이해관계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했다는 소리이며 그말은 해당 서비스가 출시되더라도 사용자들에게 만족할만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가 된다. 우리는 해당 상황에 대해 리스크를 인지했고 여기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 적용을 결정했다.

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사용자 입장분석에 대한 미흡이라고 봤고, 우리는 절대로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했다.호주 정부의 Digital Transformation Office의 서비스 디자인 총괄인 Leisa Reichelt의 말을 인용하자면 아래와 같다.

"당신은 사용자가 아니며, 사용자를 자주 만나지 않는 이상, 사용자처럼 생각한다고 할 수 없다."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가 될 수 없는 우리들이 정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장과 보다 가까워지는 방법은 안타깝게도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장 이해이며 해당 과정은 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에 속해있는 우리 개발자에게도 필요한 과정이다. 왜냐, 디자인 프로세스는 '어떻게하면 예쁘게 화면을 구성할지?' 만을 고민하는 것이 아닌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을 만한 경험을 제공하지? 를 고민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때 몇몇의 개발자들은 "디자인? 난 안해 ! 내가 왜 디자인을 해?"라고 주장하며 도망갈 시도를 하기도 하지만 서비스 제작 구성원으로서 참여하고 있는 한 인원으로서 좋은 서비스를 제작하는데에 UI/UX 설계는 우리 모두에게 꼭 필요한 과정이다. ( 사용자 이해 뿐 아니라 같이 협업하는 디자이너를 이해하기에도 아주 좋은 기회다.)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

  디자인 방법론에 따라 적용 프로세스는 상이하지만 그 중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에서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참고했다. 시간 관계상 모든 과정을 성실히 수행하지는 못했지만 수행 했던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페르소나 설정

전체 사용자 그룹을 대표하는 가상의 소비자 유형
가상의 소비자를 설정해 니즈(Needs)를 파악하고, 서비스 사업과 연결하는 과정 페르소나를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의 요구 사항 , 경험, 행동, 목표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2. 플로우 차트

어떤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의 흐름(논리)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
간단한 기호와 화살표로 도식화한 그림

3. 분석/필요 기능 식별

페르소나와 플로우차트, 영업팀의 피드백 내용을 바탕으로 필요한 분석/기능들을 식별, 문장의 형태로 기재를 해야함, 프로젝트 개발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상태에서 해당 과정을 수행하여 매몰된 의견들이 나오는 점은 어쩔 수 없었지만, 추가적으로 식별된 의미있는 의견들도 많았음.

4. 어피니티다이어그램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정성적 데이터들 사이의 규칙과 연관성을 발견하여, 해당 내용을 토대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법론
분석/필요 기능 과정에서 식별된 기능을 바탕으로 같은 카테고리끼리 연결시키는 과정을 수행

5. 정보 구조도 (IA)

서비스가 어떤 화면으로 어떻게 보여지는지 전체적으로 보여줌
서비스의 구성과 기능, 흐름, 상하구조등을 정리하여 나타냄

마치며

  IT 산업이 발달할 수록 UX의 중요성은 더 대두되고 있는 것 같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IT 산업에서 무수히 많은 서비스와 프러덕트 중 살아남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서비스 간의 친밀한 교감이 필수이다. 사용자와 서비스 간의 교류를 위해 튼튼한 다리가 되어줄 UX를 잘 고려하여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보자

🧷 참고사이트 목록
디자인 프로세스 이해하기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실제 서비스 기획
UX 디자인 개론

profile
Unreal Engin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