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에서 두 테이블이 참조 관계에 있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예를 들어, User
테이블과 사용자의 직업인 Occupation
테이블이 있다. 두 테이블은 N:1 관계에 있으며, User
객체가 Occupation
객체를 참조하고 있다. User
가 Occupation
을 선택하여 입사 원서를 작성한다고 가정해보자.
class User(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job = models.ForeignKey('Occupation', on_delete = models.CASCADE)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 = True)
class Occupation(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User
객체는 Occupation
객체를 정참조 하고 있으므로, 속성 이름으로 바로 접근 할 수 있다. User1을 선택하여, 그 사람의 job을 찾아보자.
user1 = User.objects.get(id = 1)
user1.job.name
>>> 'Developer'
그러나 Occupation
객체는 User
객체를 역참조 하고 있으므로 바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developer
이라는 Occupation
을 가지고 있는 유저를 모두 찾아보자.
job1 = Occupation.objects.get(name = 'developer')
people = job1.user.all() # 이게 될까?
❌ 안 됨 ❌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onsole>", line 1, in <module>
AttributeError: 'Occupation' object has no attribute 'user'
그렇다고 절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절대 아니니 걱정하지말자. 역참조 관계에 있을 때는 [classname]_set
이라는 속성을 사용하여 접근해야한다.
job1 = Occupation.objects.get(id = 1)
people = job1.user_set.all()
>>> <QuerySet[<Object User Object(1)>, <Object User Object(2)>]>
이 때, user_set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related_name
이다. 역참조 대상인 user
객체를 부를 이름.
즉,
User
클래스를 정의할 때, 정참조 하고 있는Occupation
클래스의 인스턴스에서 어떤 명칭으로 거꾸로 호출당할 지 정해주는 이름인 것이다.
앞의 예시를 다시 보자. 아무래도 Occupation
의 입장에서는 입사 지원자들을 appliers
라고 부르는 것이 더 직관적이고 편할 것 같다.
class User(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job = models.ForeignKey(
'Occupation',
on_delete = models.CASCADE,
related_name = 'appliers' ------------------------- [Key Point !]
)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 = True)
class Occupation(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Key Point] 를 눈여겨 보자.
User
객체를 정의할 때, job
이라는 속성에 Occupation
객체가 연결되어 정참조하고 있다. Occupation
객체의 인스턴스와 연결되어 있는 User
객체를 거꾸로 불러올 때, appliers
라는 이름으로 부르기 위해 job
속성에 related_names = 'appliers'
를 함께 지정해주었다.
job1 = Occupation.objects.get(id = 1)
people = job1.appliers.all()
>>> <QuerySet[<Object User Object(1)>, <Object User Object(2)>]>
잘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Foreign Key에 related_name을 붙여줄 필요는 없다. 때에 따라, 참조하고 있는 객체 이름에 _set
을 붙이는 것이 더 직관적인 경우가 굉장히 많기 때문이다.
바로 한 클래스에서 서로 다른 두 컬럼(속성)이 같은 테이블(클래스)를 참조하는 경우이다.
앞서 설명한 상황에서, 지원자가 필수로 신청한 occupation
외에, 2지망인 occupation
도 받는다고 가정해보자.
class User(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job = models.ForeignKey('Occupation', on_delete = models.CASCADE)
[*] choice_2nd = models.ForeignKey('Occupation', on_delete = models.CASCADE, null = True)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 = True)
class Occupation(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 참고로 위와 같은 선언은 애초에 마이그레이션이 되지 않는다. related_name 지정하라는 문구만 뜸.
User
객체에서 Occupation
객체를 정참조 하는 속성이 두 개이다. 다시 말해 developer
이라는 Occupations
객체의 인스턴스를 1지망으로 선택한 지원자와 2지망으로 선택한 지원자가 따로 구별되어있다는 뜻이 된다. 아래 두 인스턴스를 보자.
user1 = User.objects.create(name = 'Nick', job_id = 1) #developer
user2 = User.objects.create(name = 'Sue', job_id = 2, choice_2nd_id = 1)
user1
은 1지망은 job
으로 id
가 1
번인 developer
이다.
user2
의 1지망은 2
번 job
이고, 2지망이 developer
이다.
job1 = Occupation.objects.get(id = 1)
job1.user_set.all()
의 결과가 생성될 수 있을까?
❌ 안 됨 ❌
Occupation
객체를 정참조 하고 있는 컬럼이job
과choice_2nd
두 개이므로, 그저 user_set이라는 속성만으로는 자신을 바라보고 있는 두 User 객체 가운데 어떤 속성에 접근해야할 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developer
을 1지망으로 고른 사람들의 목록(Nick
)을 가져와야할 지, 2지망으로 고른 사람들의 목록(Sue
)을 가져와야할 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class User(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job = models.ForeignKey(
'Occupation',
on_delete = models.CASCADE,
related_name = 'appliers' ------------------------- [Key Point !]
)
choice_2nd = models.ForeignKey(
'Occupation',
on_delete = models.CASCADE,
null = True
related_name = 'second_appliers'
)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 = True)
이제는 developer
을 1지망으로 지원한 Nick과 2지망으로 지원한 Sue를 구분하여 호출할 수 있다.
job1 = Occupation.objects.get(id = 1)
job1.appliers.all()
>>> <QuerySet[<Object User Object(1)>]> # ---> Nick
job1.second_appliers.all()
>>> <QuerySet[<Object User Object(2)>]> # ---> Sue
예시에서는 Foreign Key만을 다루었는데, ManyToMany 관계에 있을 때에도 related_name은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헷갈리지 않게 주의하자.
웹의 구조나 서비스가 복잡해질 수록, 클래스 사이의 참조가 많아진다. 일대다는 물론이고, 다대다 관계도 계속 늘어난다. 그럴 때일 수록 related name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떻게든 migration만 되면 되지. 라는 생각으로 related_name을 마음대로 설정하다 보면, 나중엔 변수 이름을 아무렇게나 정했을 때만큼이나 의미를 알수 없는 코드를 양산하게 되기 때문이다.
오늘도 많이 배웠다.
첨언하자면 모델 설계가 좀 아쉽네요
class User(models.M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job = models.ForeignKey('Occupation', on_delete = models.CASCADE)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 = True)
class Occupation(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이 부분인데요
class User(models.Model):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 = True)
class Occupation(models.Model):
user = models.ForeignKey('User', on_delete = models.CASCADE)
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 = 50)
가 되어야 됩니다. 또한 이렇게 설계해야 2지망도 Occupation의 user에서 지정해주면 되는 부분이구요.
오 굿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