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S (1) : BFS의 개념 및 연습 문제 (JAVA) - (BOJ1926, BOJ2178, BOJ7576, BOJ4179, BOJ1697)

이요환·2022년 8월 24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7/20

처음

전반적인 자료구조에 대한 복습은 마쳤고, 이제 본격적으로 알고리즘들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가 바로 BFS(Breadth First Search), 즉 넓이 우선 탐색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래프나 트리를 탐색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위와 같은 트리 구조의 데이터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 트리 안의 모든 노드들에 접근해서 어떤 검사를 해야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BFS 알고리즘은 노드를 계층 순서대로 검사한다.

각 계층의 노드들을 순서대로 모두 검사하고 나서야, 다음 계층으로 넘어간다. 왼쪽과 오른쪽 중 어느 방향으로 검사하느냐는 별로 중요하지 않지만, (문제에 따라 바꿀 수 있으니께) 왼쪽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했을 때 1-2-3-4-5-6-7-8-9-10-11-12-13-14-15 순서대로 노드를 검사하게 될 것이다.

처음엔 트리/그래프에 대해서 계층 순서대로 탐색한다는 얘기를 들어도 와닿지 않았다. 트리나 그래프로 해석될 수 있는 자료구조가 어떤 것이 있는 지도 몰랐고, 누구나 생각할 수 있을만 한 알고리즘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 하지만 BFS라는 이름으로 정리되어 있는 이유가 있다는 것을 이를 활용한 문제들을 풀어보면서 느꼈다. 다 생각해볼 수 있을 만한 알고리즘을 BFS라는 이름으로 일반화해놓으면, 적용했을 때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 얼마나 많은 지 연습문제들을 풀면서 알아보자.


중간

1. 백준 1926 - 그림


BFS의 개념을 알려주고 나서 풀기에는 너무나 직관적인 문제다. 입력되는 2차원 배열의 원소들을 트리의 형태로 표현해보면 더 쉽다. 하나의 그림으로 판별되려면 인접한 곳, 즉 상 하 좌 우에 1이 똑같이 존재해야 한다. 이것을 검사하기 위해, 모든 노드(x, y)에 대해서 (x-1, y), (x+1, y), (x, y+1), (x, y-1) 네 가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트리가 뻗어나가면서, 주어진 배열의 범위를 넘어가거나 그림이 아닌 경우(0인 경우)를 제외해가면 될 것이다.

package B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class Pair {
    private int x;
    private int y;

    public Pair(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public int getX() {
        return x;
    }

    public int getY(){
        return y;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Pair{" +
                "x=" + x +
                ", y=" + y +
                '}';
    }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if (this == o) return true;
        if (o == null || getClass() != o.getClass()) return false;
        Pair pair = (Pair) o;
        return x == pair.x && y == pair.y;
    }
}

public class BOJ192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a = br.readLine().split(" ");
        int n = Integer.parseInt(a[0]);
        int m = Integer.parseInt(a[1]);

        int[][] picture = new int[n][m];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m];

        Queue<Pair> pairsOngoing = new LinkedList<>();

        for (int i = 0; i < n; i++) {
            String[] b = br.readLine().split(" ");
            for (int j = 0; j < m; j++) {
                picture[i][j] = Integer.parseInt(b[j]);
            }
        }
        int pictureCnt = 0; //그림 갯수
        int maxArea = 0; //제일 큰 그림의 넓이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visited[i][j] || picture[i][j] == 0) continue;

                pictureCnt++;

                pairsOngoing.offer(new Pair(i, j));
                visited[i][j] = true;

                int areaCnt = 0;

                while (!pairsOngoing.isEmpty()) {
                    Pair tmp = pairsOngoing.poll();
                    areaCnt++; //여기서?
                    int x = tmp.getX();
                    int y = tmp.getY();
                    if (x > 0 && !visited[x-1][y] && picture[x-1][y] == 1) {
                        pairsOngoing.offer(new Pair(x - 1, y));
                        visited[x-1][y] = true;
                    }
                    if (x < n-1 && !visited[x+1][y] && picture[x+1][y] == 1) {
                        pairsOngoing.offer(new Pair(x + 1, y));
                        visited[x + 1][y] = true;
                    }
                    if (y > 0 && !visited[x][y-1] && picture[x][y-1] == 1) {
                        pairsOngoing.offer(new Pair(x, y-1));
                        visited[x][y-1] = true;
                    }
                    if (y < m-1 && !visited[x][y+1] && picture[x][y+1] == 1) {
                        pairsOngoing.offer(new Pair(x, y+1));
                        visited[x][y+1] = true;
                    }
                }
                if (maxArea < areaCnt) maxArea = areaCnt;
            }
        }
        System.out.println(pictureCnt);
        System.out.println(maxArea);

    }
}

BFS의 구현은 queue를 활용하면 정말 쉽다. 첫 번째 노드를 offer하고, 그 노드와 연결된 노드들을 검사한 뒤 다시 offer하면 다음 계층의 노드들이 순서대로 차곡차곡 쌓이는 것이다. 위의 그림으로 봤던 순서대로 말이다.

BFS에서 정말 중요한 점은 picture과 같은 크기로 선언된 2차원 배열 visited다. 이것은 노드가 queue에 offer될 때마다 (노드를 검사할 때마다) 그 노드의 좌표를 visited로 체크하는 변수다. 만약에 한 번 방문한 노드를 다시 방문한다면, queue에는 무한히 많은 원소들이 쌓일 것이다. 이미 검사한 노드를 다시 검사할 필요는 없다.


BFS 구현의 방법은 이 예제와 대동소이하고,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을 구하기 위해 areaCnt와 pictureCnt를 선언해 사용했다. while()문이 끝났다는 것은 더 이상 인접한 1이 없다는 것이기 때문에 그 때마다 pictureCnt(그림의 개수)를 늘려주면 되고, while()문이 반복된 횟수는 검사한 노드의 개수, 즉 1의 개수와 같으므로 반복문이 돌 때마다 areaCnt를 늘려주면 된다.


2. 백준 2178 - 미로 탐색


이전 문제는 우리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영역의 범위를 BFS를 활용해서 퍼져나가듯이 검사하는 문제였다. 반면에 이 문제는 보다시피 모든 원소들을 검사하되, 구해야하는 것은 이동의 최솟값이다. 우리가 여기서 떠올려야하는 것은, BFS가 계층의 순서대로 검사를 한다는 것이다. 그럼 이 문제들에서 '계층'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이전 문제를 예시로 생각해보면, 첫 번째 계층 (H0)은 검사가 시작되는 노드 (queue에 처음 offer되는 노드)인 (0, 0)이다. 그럼 두 번째 계층은 (1, 0), (0, 1)이, 세 번째 계층은 (1,1), (2, 0), (0, 2)가 될 것이다. 그러면 놀랍게도, 이 계층이라는 숫자는 이동 횟수를 나타내게 된다 (정확히는 이동 횟수 - 1). 이 문제에서 BFS를 활용해야하는 이유다. 1. 모든 가능한 노드들을 검사해야 하면서, 2. 검사 경로의 최솟값을 찾는 문제 이기 때문이다.

실제 구현을 보자.

package B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class Pair3 {
    private int x;
    private int y;

    private int reps;

    public Pair3(int x, int y, int reps) {
        this.x = x;
        this.y = y;
        this.reps = reps;
    }

    public int getX() {
        return x;
    }

    public int getY(){
        return y;
    }

    public int getReps() {
        return reps;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Pair{" +
                "x=" + x +
                ", y=" + y +
                '}';
    }
}

public class BOJ2178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a = br.readLine().split(" ");
        int n = Integer.parseInt(a[0]);
        int m = Integer.parseInt(a[1]);
        int[] dx = {1, 0, -1, 0};
        int[] dy = {0, 1, 0, -1};

        int[][] board = new int[n][m];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m];
        Queue<Pair3> queue = new LinkedList<>();
        int cnt = 1;

        for (int i = 0; i < n; i++) {
            String[] b = br.readLine().split("");
            for (int j = 0; j < m; j++) {
                board[i][j] = Integer.parseInt(b[j]);
            }
        }

        queue.offer(new Pair3(0, 0, 1));
        visited[0][0] = true;

        while (!queue.isEmpty()) {
            Pair3 tmp = queue.poll();
            if (tmp.getX() == n-1 && tmp.getY() == m-1) {
                System.out.println(tmp.getReps());
                return;
            }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tmp.getX() + dx[i];
                int ny = tmp.getY() + dy[i];

                if (nx < 0 || ny < 0 || nx > n-1 || ny > m-1) continue;
                if (visited[nx][ny] || board[nx][ny] == 0) continue;

                queue.offer(new Pair3(nx, ny, tmp.getReps()+1));
                visited[nx][ny] = true;
            }
        }
    }
}

노드의 정보를 저장하는 Pair3 클래스에 reps라는 멤버를 추가해서, queue에 들어갈 때마다 1씩 늘려주는 방식으로 이것을 구현했다. queue에 offer하는 경우는, tmp 자신의 자식 노드들이기 때문에 자신보다 한 단계 더 낮고, 이것은 한 번 더 이동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 BFS 구현에서 달라진 점은, 위 문제와 똑같이 2차원 배열을 탐색해야했기 때문에 상하좌우를 모두 검사하지만 위 문제처럼 네 경우를 모두 if문으로 검사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dx, dy에 x, y방향으로 움직이는 네 가지 경우를 모두 저장해 놓고, for문을 활용해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추가로, 위 예제처럼 pair 클래스에 reps를 추가해서 저장하지 않고, visited 배열을 int[][]로 선언해서 이동 거리를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공간복잡도 면에서 더 불리할 것 같다.)


3. 백준 7576 - 토마토

상자의 모든 칸을 검사해야 하고, 토마토가 익는 최소 일수를 구해야한다는 부분에서 바로 BFS를 떠올릴 수 있어야한다. BFS 구현은 쉽고, 최소 일자를 구하기 위해 바로 위에서 이야기한 방법 (visted를 int[][]로 선언해 이동 거리 저장)을 활용해 풀면 될 것 같다.

다만, 위 문제와 다른 점은 검사를 시작하는 지점이 익은 토마토의 위치 (1)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익은 토마토는 검사에서 0단계여야하므로 queue에 다 집어넣고 시작하면 될 것이다.

package B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BOJ7576_2 {
    static int[] dx = {1, 0, -1, 0};
    static int[] dy = {0, 1, 0, -1};
    static int[][] board;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n;
    static int m;
    static int nx;
    static int ny;
    static Queue<Pair> queu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queue = new LinkedList<>();

        String[] a = br.readLine().split(" ");
        n = Integer.parseInt(a[1]);
        m = Integer.parseInt(a[0]);

        board = new int[n][m];
        visited = new boolean[n][m];

        for (int i = 0; i < n; i++) {
            String[] b = br.readLine().split(" ");
            for (int j = 0; j < m; j++) {
                int tmp = Integer.parseInt(b[j]);
                if (tmp == 1) queue.offer(new Pair(i,j));
                board[i][j] = tmp;
            }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board[i][j] != 1) continue;
                BFS(i, j);
            }
        }
        for (int i = 0; i < n; i++)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board[i]));
        }

        int max = 0;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visited[i][j] && board[i][j] == 0) {
                    System.out.println(-1);
                    return;
                }
                if (board[i][j] > max) max = board[i][j];
            }
        }
        System.out.println(max-1);
    }

    private static void BFS(int x, int y) {

        visited[x][y] = true;
        queue.offer(new Pair(x, y));

        while (!queue.isEmpty()) {
            Pair tmp = queue.poll();

            for (int k = 0; k < 4; k++) {
                nx = tmp.getX() + dx[k];
                ny = tmp.getY() + dy[k];

                if (nx < 0 || ny < 0 || nx > n -1 || ny > m -1) continue;
                if (visited[nx][ny] || board[nx][ny] != 0) continue;

                board[nx][ny] = board[tmp.getX()][tmp.getY()] + 1;
                queue.offer(new Pair(nx, ny));
                visited[nx][ny] = true;
            }
        }
    }
}

코드가 길어져서 BFS 구현부는 따로 메서드로 선언해줬다.

설명한대로 익은 토마토로부터 이동할 때마다 board에 이동 거리 (날짜)를 저장했고 모든 검사가 끝난 뒤에는 board에서 최댓값을 출력하게 했다.

또 검사가 끝난 뒤에도 익지 않은 토마토가 있다는 것은 불가능을 의미하므로, -1을 출력하도록 했다.


4. 백준 4179 - 불!


지훈이와 불은 사방으로 퍼져나갈 수 있고, 최소 탈출 시간을 찾아야한다. 당연히 BFS다. 다만 지훈이와 불 두 경우에 대해서 검사해야할 것이다.

package B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시작부터 가장자리에있는 경우 생각 안해서 틀렸었ㅇ씀
public class BOJ4179 {
    static char[][] board;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Queue<Pair> fireQueue = new LinkedList<>();
    static Queue<Pair> jihoonQueue = new LinkedList<>();
    static int n;
    static int m;
    static int[] dx = {1, 0, -1, 0};
    static int[] dy = {0, 1, 0, -1};
    static int nx;
    static int ny;
    static int cnt =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a = br.readLine().split(" ");
        n = Integer.parseInt(a[0]);
        m = Integer.parseInt(a[1]);
        visited = new boolean[n][m];
        board = new char[n][m];

        for (int i = 0; i < n; i++) {
            char[] b = br.readLine().toCharArray();
            for (int j = 0; j < m; j++) {
                if (b[j] == 'J') {
                    if (i == 0 || i == n-1 || j == 0 || j == m-1) {
                        System.out.println(1);
                        return;
                    }

                    jihoonQueue.offer(new Pair(i, j));
                    visited[i][j] = true;
                }
                else if (b[j] == 'F') fireQueue.offer(new Pair(i, j));

                board[i][j] = b[j];
            }
        }

        Pair tmp;
        int threshold;
        while (true) {
            if (jihoonQueue.isEmpty()) {
                System.out.println("IMPOSSIBLE");
                return;
            }

            threshold = fireQueue.size();
            for (int i = 0; i < threshold; i++) {
                tmp = fireQueue.poll();
                //불의 움직임...
                for (int j = 0; j < 4; j++) {
                    nx = tmp.getX() + dx[j];
                    ny = tmp.getY() + dy[j];

                    if (nx < 0 || ny < 0 || nx > n-1 || ny > m-1) continue;
                    if (board[nx][ny] == 'F' || board[nx][ny] == '#') continue;

                    fireQueue.offer(new Pair(nx, ny));
                    board[nx][ny] = 'F';
                }
            }

            threshold = jihoonQueue.size();
            for (int i = 0; i < threshold; i++) {
                tmp = jihoonQueue.poll();

                //지후니의 움직임... 샤샤샥~ (닌자인듯ㅋㅋ)
                for (int j = 0; j < 4; j++) {
                    nx = tmp.getX() + dx[j];
                    ny = tmp.getY() + dy[j];

                    if (nx < 0 || ny < 0 || nx > n-1 || ny > m-1) {
                        continue;
                    }
                    if (board[nx][ny] == 'F' || board[nx][ny] == '#' || visited[nx][ny]) {
                        continue;
                    }
                    if (nx == 0 || nx == n-1 || ny == 0 || ny == m-1) {
                        System.out.println(++cnt);
                        return;
                    }

                    jihoonQueue.offer(new Pair(nx, ny));
                    visited[nx][ny] = true;
                }
            }

            cnt++;
            showBoard();
        }
    }

    private static void showBoard(){
        for (int i = 0; i < n; i++)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board[i]));
        }
        System.out.println("-------------------");
    }
}

위에서 해왔던 것이랑 비슷해서 설명할 것은 별로 없다. 불이 번지는 것이 지훈이의 이동보다 선행되어야한다는 것 정도만 주의하면 될 것 같다. (지훈이가 먼저 이동하면, 불이 번질 위치로 지훈이가 이동하는 경우가 생김)

또 이번에는 이동 횟수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threshold라는 변수를 이용했다. 각 계층이 다음 계층의 노드들을 모두 queue에 넣고 나면, queue.size()는 다음 계층의 원소 개수가 된다. 이런 방식으로 각 계층을 분리해서 반복문을 돌릴 수 있다. (반복문이 돌때마다 cnt++)

그리고 시작부터 지훈이가 가장자리에 있는 경우 예외처리를 안해서 한 번 틀렸다. 항상 극단적인 경우의 테스트케이스 예외처리를 꼼꼼히 해주도록 하자.......


5. 백준 1697 - 숨바꼭질


역시나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며 최소 탐색을 찾는 문제다. 다만 위의 문제들은 2차원 배열에서 사방으로 검사를 했던 반면에, 이번엔 1차원에서 이동 방식이 세 가지인 경우이다. 각 노드가 자식 노드를 세 개 가질 뿐 달라지는 점은 없다.

package B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BOJ169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a = br.readLine().split(" ");
        int n = Integer.parseInt(a[0]);
        int k = Integer.parseInt(a[1]);
        if (n==k) {
            System.out.println(0);
            return;
        }
        boolean[] visited = new boolean[100001];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queue.offer(n);
        visited[n] = true;
        int cnt = 0;

        while (!queue.isEmpty()) {
            int threshold = queue.size();
            for (int i = 0; i < threshold; i++) {
                System.out.println(queue.size());
                int[] tmp = createArray(queue.poll());
                for (int x : tmp) {
                    if (x > 100000 || x < 0) continue;
                    if (x == k) {
                        System.out.println(++cnt);
                        return;
                    }
                    if (!visited[x]) {
                        queue.offer(x);
                        visited[x] = true;
                    }
                }
            }
            cnt++;
        }
    }
    private static int[] createArray(int a) {
        int[] result = {a - 1, a + 1, a * 2};
        return result;
    }
}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100000이라는 점 말고는 신경쓸 부분이 없었다.


BFS 알고리즘의 간단한 개념과 이를 활용한 기본적인 문제들을 풀어봤다. 내가 느끼기에 BFS를 활용해야하는 지를 결정하는 것은, 1. 퍼져나가는 듯한 검사 (영역의 검사 등) 2. 모든 경우의 수 검사 3. 최솟값 계산 인 것 같다. 다음 두 개의 포스팅에서는 BFS를 활용한 문제들을 더 풀어볼 것이다.


연습문제 출처 : encrypted-def github

profile
컴퓨터 사이언스, 알고리즘,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관심이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