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의 핵심가치, 환경, 컨디션 등을 고려해 최적의 개발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프로젝트 수행 방법이다
분석 -> 설계 -> 구현 -> 개발과 같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폭포수처럼 아래로 흐른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애자일 모델이 탄생
고객과의 의사소통을 중요시하는 모델
Agile이라는 뜻과같이 좋은 것은 빠르게 취하고, 낭비없게 만드는 방법론
스크럼은 보통 30일 단위로 주기를 나누고, 짧게는 1~2주 길게는 3~4주 단위의 스프린트로 쪼개서 개발을 진행한다. (스프린트 === 개발주기)
특정 기간동안 해야 할 목표와 필요 작업을 명시하고, 백로그(Backlog)를 남겨 스프린트가 끝나면 회고를 진행
최근에는 산업에서 애자일 방법론을 지향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애자일이 무조건적인 정답은 아니다.
방법론은 업무의 범위, 시간, 자원등 평가 척도를 통해서 프로젝트에 적합한 최상의 개발 방법론은 채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