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모델 구성

이인혁·2024년 8월 16일
0

유니티

목록 보기
5/20

유니티(Unity)는 3D 게임 개발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강력한 엔진입니다. 유니티에서 3D 모델을 구성하는 것은 3D 게임 및 애플리케이션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여기에서는 유니티에서 3D 모델을 구성하는 과정과 주요 요소들을 설명하겠습니다.

3D 모델 가져오기

유니티에서 3D 모델을 사용하려면 먼저 외부 툴(예: Blender, 3ds Max, Maya 등)에서 만든 3D 모델 파일을 프로젝트에 임포트해야 합니다. 유니티는 다양한 포맷의 3D 파일을 지원합니다. 대표적으로 .fbx, .obj, .dae 등이 있으며, 이 파일들을 유니티의 Assets 폴더에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

모델 설정

임포트된 3D 모델은 Inspector 창에서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요한 설정 옵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Mesh Compression: 메쉬 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Read/Write Enabled: 모델 데이터를 코드에서 수정하거나 접근할 수 있게 설정합니다.
Normals: 법선 벡터 설정으로, 모델의 표면 방향을 조정합니다.
Tangents: 탄젠트 벡터 설정으로, 노멀 맵 같은 셰이더 효과에 사용됩니다.

머티리얼과 텍스처 적용

3D 모델은 머티리얼(Material)과 텍스처(Texture)를 사용하여 표면의 시각적인 모습을 설정합니다. 유니티에서는 기본적으로 PBR (Physically Based Rendering) 머티리얼을 사용하여 현실적인 조명과 반사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Material: 3D 모델의 표면 속성을 정의하는 요소입니다. 색상, 반사율, 굴절률 등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Texture: 머티리얼에 적용되는 이미지 파일로, 모델의 표면에 세부적인 디테일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Diffuse Map, Normal Map, Specular Map 등이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유니티에서 3D 모델에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3D 모델은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니티에서는 Animator Controller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Rig: 모델의 골격 구조를 정의합니다. 유니티에서는 Humanoid, Generic, Legacy 등의 리깅 모드를 지원합니다.
Animation Clips: 애니메이션 동작(클립)을 정의하며, 애니메이션 상태를 정의하는 애니메이션 컨트롤러를 통해 재생됩니다.

물리 엔진과 충돌 처리

3D 모델은 물리 엔진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콜라이더(Collider)와 리지드바디(Rigidbody) 컴포넌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Collider: 모델에 물리적인 경계를 설정하여 다른 오브젝트와 충돌을 감지할 수 있게 합니다. 대표적인 콜라이더에는 Box Collider, Sphere Collider, Mesh Collider 등이 있습니다.
Rigidbody: 모델에 물리적 특성(중력, 관성, 질량 등)을 부여하여 물리 엔진에 의해 제어되도록 합니다.

조명과 셰이더

유니티에서 3D 모델을 사실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조명과 셰이더 설정이 중요합니다.

Light: 모델이 받는 조명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합니다. Directional Light(태양광), Point Light(전구), Spotlight(스포트라이트) 등이 있습니다.
Shader: 모델의 머티리얼에 적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로, 표면의 렌더링 방식을 정의합니다. 유니티는 다양한 셰이더를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직접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씬(Scene) 구성

3D 모델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카메라, 조명 및 기타 환경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설정합니다. 씬은 게임의 모든 요소들이 모여서 동작하는 공간입니다.

Scene View: 씬을 시각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뷰입니다.
Game View: 실제 게임 플레이 화면을 미리보기 할 수 있는 뷰입니다.

성능 최적화

많은 3D 모델이 포함된 게임에서는 성능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유니티에서 제공하는 최적화 기법으로는 LOD (Level of Detail), Occlusion Culling, Baking 등이 있습니다.

마치며

유니티에서 3D 모델을 구성하는 과정은 단순히 모델을 가져오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머티리얼과 텍스처를 설정하고,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며, 물리 엔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정하는 등 다양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니티에서 현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3D 환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
게임개발공부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