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cham에서 ctrl+c & ctrl+v -> ctrl+d로 쉽게 대체할 수 있다.
변수: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
변수명: 변수의 이름(주소)

*변수는 데이터를 재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변수 두개 이상 사용시 '콤마'를 사용한다.
num1 = 10
num2 = 20
print(num1 + num2)
print(num1 - num2)
name = '홍길동'
print(name, '고객님께')
print(name,'고객님 안녕하세요')


숫자는 사용가능하지만 첫번째에는 사용하면 안된다.
myPick1 - 가능
1myPick - 불가능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으로 구분됨.
정수: 10, 14
실수: 3.14, 0.1111
문자: 문자
논리: True/False
데이터의 type을 알려면 type()을 사용하면 됨.
num1 = '10'
print(type(num1))
-> str
cf)
num = 'ge'
num1 = '23'
print(num+num1) -> ge23
print(num,num1) -> ge 23
숫자,논리 -> 문자: str()
모양만 정수 데이터 -> 정수: int()
모양만 실수 데이터 -> 실수: float()
논리 데이터의 경우
ㄴ정수: int(True) -> 1, int(False) -> 0
ㄴ실수: float(True) -> 1.0, float(False) -> 0.0
빈 문자''는 데이터가 없음
-> type(): class 'str', bool(): flase
공백문자' '는 공백이라는 데이터가 있음
-> type(): class 'str', bool(): True
var1 = 'True'
var2 = 'False'
var1 = bool(var1)
var2 = bool(var2)
print(type(var1)) -> class 'bool'
print(type(var2)) -> class 'bool'
print(var1) -> True
print(var2) -> True(False라는 형태의 값이 있으므로) 
print(var1 + var2) -> 2가 나온다(True=1이므로)
print(type(var1 + var2)) class 'int'